북한군이 지난달 22일 탈북단체들이 예고한 대북전단 살포에 맞서 실제 남측을 향해 포격할 준비를 마쳤던 것으로 2일 알려졌다.
정부가 당시 탈북단체 회원들이 전단 살포 장소인 임진각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이례적으로 통제한 것은 대북 감청을 통해 북한군의 이같은 도발 징후를 사전에 포착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외교안보 소식통은 이날 "임진각 지역을 관할하는 북한군 2군단에서 전단 살포 지점을 향해 포 사격 준비를 끝낸 정황이 우리 군의 대북 감청망에 잡힌 것으로 안다"며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에서 정부가 북한을 자극하는 탈북단체의 행동을 그냥 두고 볼 수만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군이 포착한 북한군의 교신에는 '이쪽은 쏠 준비가 다 됐는데 그쪽은 준비가 끝났느냐''이번에는 본때를 보여주자' 등 포격에 앞서 서로 독려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북한군의 움직임에 대해 "실제 쏘려고 한 것""우리 정부와 탈북단체들을 겨냥한 엄포성 움직임"이란 엇갈린 해석이 나오고 있다.
앞서 지난달 19일 북한 인민군 서부전선사령부는 공개 통고장을 통해 대북전단 살포 지역을 타격하겠다고 위협했다. 이에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같은 날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군이 도발하면 도발원점을 격멸시킬 것"이라며 철저한 대응을 공언했고, 통일부는 "전단 살포를 막을 법적인 근거가 없다'며 사실상 방관했다.
하지만 22일 북한민주화추진연합회 소속 탈북단체 회원들이 전단 20만장을 살포하기 위해 임진각으로 향하자 정부는 경찰력을 동원해 이들의 진입을 막았다. 정부가 이처럼 전단 살포를 원천 봉쇄하기로 입장을 바꾸는 과정에서 대북 감청 내용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군 지휘부는 당시 합동참모본부 지하 벙커에서 실시간으로 북한군의 움직임을 파악하며 혹시 모를 도발 위협에 대처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달 18일 연평부대를 방문하기에 앞서 변인선 북한군 4군단장이 연평도와 맞닿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의 전방 부대를 시찰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4군단은 2010년 연평도 포격 도발을 자행한 것으로 알려진 부대이다. 따라서 이 대통령의 전격적인 연평도 방문은 북한군 수뇌부의 행보에 맞서 대북 강경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남북 간의 충돌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대북전단을 날리는 일부 단체들의 무분별한 행동을 정부가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