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핵개발 저지를 목적으로 한 서방의 경제 제재를 자급자족 방식으로 극복하려 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수입은 줄이고 국내 생산은 늘려 국제적 고립상태를 버틴다는 것인데 이미 외국 제품에 길들여진 국민이 많고 수입이 막힌 탓에 원자재 가격도 급상승해 국내 제품의 내부조달마저 여의치 않은 모습이다.
WP에 따르면 이란의 총수입은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집권한 2005년 당시 391억달러에서 최근 575억달러로 증가했다. 사치품에 붙던 높은 관세가 폐지된데다 리알화까지 강세를 보여 이란 국민들이 좀 더 쉽게 수입품을 살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 서방 경제 제재가 시작된 1년 전부터 리알화의 가치가 80%나 폭락해 외국 제품과 비교해 이란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강해질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이란 국민이 국산품 품질에 의문을 제기해 그 효과를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다. 실제 중동 국가 가운데 가장 많은 자동차를 만드는 이란의 올해 자동차 생산량은 서방의 제재에 따라 외국 자동차 제품의 가격이 크게 오르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40% 이상 감소했다.
이란 경제전문가인 미국 프린스턴대의 케반 해리스는 “이란 사람들은 수입품 선택과 사회적 지위가 정비례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수입제품을 선호한다”고 분석했다.
이란 당국은 애국심에 호소해 국내 제품 소비 촉진에 나서고 있다. 생필품 이외 제품의 수입을 줄이기 위해 필수품부터 사치품까지 수입품을 분류해 환율을 차등 적용하는 방안도 발표했다. 그러나 테헤란 상공회의소 회원인 한 제조업자는 WP 인터뷰에서 “환율 변동과 임금상승, 까다로운 대출 조건 등 국산 제품 생산을 저해하는 요소가 한둘이 아니다”며 국내 제품의 품질향상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태무기자 abcdef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