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달리 우리나라 대선에선 빅 데이터 활용이 미미하다. 그저 인터넷이나 SNS에서 특정 글의 클릭수, 댓글, 리트윗 등이 많을 경우 '중요이슈'라는 판단을 내릴 뿐, 유권자 특성파악이나 맞춤형 선거운동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나 인식이 낮기 때문. 빅데이터란 용어가 소개된 지도 얼마 되지 않고, 정보분석기술도 미국에 비하면 훨씬 뒤떨어져 있다. 미국의 IBM,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대형 소프트웨어 및 IT솔루션 업체들은 빅데이터 기술이 미래산업을 좌우할 것으로 보고, 이미 막대한 인력과 비용을 연구개발에 투입하고 있는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방대한 정보는 어디에나 있다. 문제는 그것을 활용하고 분석할 기술이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황혜정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공개성을 원칙으로 하는 트위터가 대부분이라 전체 의견을 대변한다고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데이터 통합 시스템을 갖춘 전문업체가 축적된 데이터에 기반해 분석을 내놓는 미국과는 차이가 크다는 지적이다.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법적인 제약이 심하다는 지적도 있다. 현행 선거법 82조6항은 '인터넷을 활용한 선거운동은 공식선거운동기간(대선 23일전부터 전날 자정까지) 인터넷언론사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본격적 선거운동이 시작되면 트위터 등을 활용한 정보 수집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한 대선캠프 관계자는 "미국의 대선사례 등을 참고해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고민하고 있지만 법적인 환경이 달라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유환구기자 reds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