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가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조직 인선을 마무리했다. 김용준 전 헌법재판소장과 김성주 성주그룹 회장을 발탁해 정몽준 전 대표, 황우여 대표와 함께 중앙선대위 4인 공동위원장에 임명했다. 논란을 부른 국민대통합위원회는 공약위원회와 함께 자신이 직접 위원장을 맡기로 한 대신 한광옥 전 민주당 상임고문에게는 국민대통합위 수석부위원장을 맡겼다. 또 김무성 전 원내대표를 선대위 총괄본부장으로 기용했다. 앞서 임명된 김종인 국민행복위원장, 안대희 정치쇄신특위 위원장과 함께 대선에 임하는 새누리당의 조직 정비가 모두 끝난 셈이다.
박 후보 측 설명에 따르면 이번 선대위 인선은 정치쇄신과 국민통합, 국민행복 등 3대 핵심 공약에 조응한다. 김 전 헌법재판소장은 대법관 출신인 안 위원장과 함께 법치와 원칙, 헌법적 가치 지향을, 김 회장은 여성의 활발한 사회참여를 각각 상징한다. 정 전 대표는 당내 통합, 한 전 고문은 출신 지역과 정파를 뛰어넘는 국민통합의 의지를 부각하기 위해 각각 중용됐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인선으로 박 후보는 당 안팎의 다양한 인적자원 동원 능력을 나름대로 보여주었다. 앞서 최종 인선을 앞두고 당내에 일었던 불협화음을 정리하고 조정한 것과 함께 일부 긍정적 평가를 얻을 만하다. 다만 이런 결과는 어디까지나 지지자 내지 잠재적 지지자를 대상으로 이뤄진 것임을 간과할 수 없다. 가령 한 전 고문에 대한 안 위원장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자신이 형식적으로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한 전 고문을 실질적 위원장인 수석부위원장에 임명한 '묘안'의 통용 범위는 극히 좁다. 아울러 박 후보가 직접 나서서 조정에 성공한 것을 뒤집어 보면 선대위 조직 내부의 낮은 자율성과 여전히 희석되지 않은'1극 중심주의'가 두드러진다.
박 후보의 이런 한계는 앞으로 대선 가도에서 최대 과제가 될 가능성이 큰 2040 세대나 개혁세력의 표심을 흡인할 만한 외부인사 영입에 실패한 데서도 확인된다. 앞으로 구체적 정책공약 개발 과정에서 이를 보완해야 할 박 후보의 과제가 더욱 무거워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