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부터 140명의 국무총리실 직원들이 세종시 정부청사로 출근해 첫 업무를 시작한다. 올해 말까지 총리실 692명을 포함해 기획재정부 등 중앙행정기관 직원들을 합치면 모두 3,700여명이 세종시에서 연말연시를 맞게 되는 셈이다. 그러나 이들 대다수는 이곳에서 아직도 살 집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주거ㆍ교통ㆍ교육 등의 인프라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세종시가 자족기능을 갖춘‘행정중심복합도시’로 자리잡기까지는 아직도 갈 길이 멀기만 하다.
중앙행정기관들의 이전시기에 맞춰 입주 가능한 주거지는 현재 첫마을이 유일하다. 하지만 분양을 받은 공무원은 고작 800여명에 불과하다. 현재 건설중인 아파트는 2013년 말부터 입주가 가능하다. 상당수의 직원이 최소 1년 이상 대전이나 서울에서 출퇴근을 하거나 인근 지역에서 전 월세 임대주택에 살아야만 한다. 반면 입주를 시작한 아파트를 매입한 일부 공무원들은 이전일정과 입주시기가 맞지 않아 전세를 내줘 집을 보유하고도 상당기간 대전 등에서 출퇴근을 해야 하는 입장이다.
최근 국무총리실은 이 같은 주거 문제를 고려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무총리실과 공무원연금관리공단,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등이 마련한 방안은 이주 직원들을 대전 공무원 임대아파트 238세대와 첫마을 공공임대아파트 130세대로 분산 수용한다는 계획이다. 세대당 최소 2~3명을 배정해 대전 공무원 아파트에 697명, 첫마을에 367명 등 모두 1,064명의 임시 숙소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행복청 관계자는“세종시 출범 취지에 맞게 세종시 정착을 원칙으로 정책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공무원 자녀들의 교육문제와 생활편의시설 부족은 가장 큰 골치거리다.
세종시는 2030년 인구수 50만명의 자족도시 건설을 목표로 유치원 66곳, 초등학교 41곳, 중학교 21곳, 고교 20곳, 특수학교 2곳 등 150개의 학교를 설립예정이다.
이들 학교는 학급당 20∼25명으로 제한하고 교과교실제와 스마트스쿨 시스템을 갖춘 미래형 학교로 운영할 방침이다.
하지만 자녀가 고교와 대학진학을 앞둔 공무원들은 선뜻 이주를 결심하지 못하고 있다. 생활편의시설의 태부족도 공무원들의 이주의 발길을 붙잡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중앙행정기관 구역에서 가장 가까운 첫마을 아파트에는 단지 내 상가가 고작이다. 이마저도 부동산중개사무소들로 대부분 채워져 있어 생활하기에 불편한 점이 많다.
행복도시건설청은 이에 따라 청사내 이동진료소와 은행, 생필품 매장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세종=이준호기자 junho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