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전4패가 될까, 아니면 3패 후 극적으로 1승이라도 챙기게 될까.
대우조선해양은 올 들어 추진된 공적자금 투입기업 매각 시리즈의 마지막이자, 현 정부에서 매각이 추진될 마지막 공적자금 투입 기업. 앞선 매각작업이 모조리 실패로 돌아간 상황에서, 과연 대우조선해양만이라도 지분매각이 성공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11일 관계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공적자금위원회(공자위)는 오는 14일 소위원회에 이어 17일 본회의를 열어 자산관리공사(캠코)가 보유한 대우조선 지분 3,657만주(19.1%)에 대한 매각방식을 결정할 방침이다. 방식이 정해지면 올 초 매각 주관사로 선정한 모건스탠리, 신한금융투자 컨소시엄 등을 통해 매각 작업을 마무리 한다는 일정이다.
공자위는 대우조선 지분 매각 방식과 관련해 ▦경쟁 입찰 통한 전량 매각 ▦블록딜(대량매매) 통한 분할 매각 등의 두 가지 안을 놓고 고심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자위 관계자는 "산업은행이 갖고 있는 지분 31.3%(5,982만주)를 제외한 캠코 보유지분은 부실채권정리기금 운용시한인 11월22일 전에 매각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 여러 방안을 놓고 검토 중"이라며"전량으로 파느냐, 분할해서 파느냐의 문제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법정 시한이 있는 만큼 어떻게든 파는 시도는 해야겠지만, 그렇다고 지분 매각은 결코 순탄치 않아 보인다. 매수자도 마땅치 않거니와 무엇보다 조선경기 침체로 대우조선 주가가 크게 떨어져 공적 자금 회수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날 대우조선 주식의 종가는 2만4,900원으로 지난 2008년 매각을 시도했을 때(6만원대)에 비하면 절반 이하로 추락한 상태다.
'경영권 확보' 메리트가 없는 점도 악재다. 현재 산업은행이 대우조선의 최대 주주로, 캠코가 가진 지분을 모두 가져가도 산업은행에 뒤져 최대주주가 될 수 없다. 사는 쪽은 경영권을 넘겨 받지 못하는 만큼 매력이 없고, 파는 쪽 역시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을 수 없어 제값을 챙길 수가 없는 상황이다. 안 팔려도 문제지만, 싼 값에 팔려도 문제다.
이에 따라 공자위는 부실채권정리 기금 운용시한 전에 대우조선 지분 매각 추진이 여의치 않을 경우 관련 법에 따라 이 주식을 정부에 귀속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무리하게 시한에 쫓겨 헐값 매각 논란을 야기하느니, 차라리 다음 정부로 넘긴다는 얘기다.
만약 대우조선해양의 지분매각이 실패로 돌아갈 경우, 올해 정부가 시도한 공적자금 투입 기업의 매각은 모두 실패로 돌아가게 된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매각에 자신있다'고 했던 우리금융지주 민영화는 이미 무산됐고, 쌍용건설 매각은 이랜드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까지 됐지만 가격협상과정에서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역시 대한항공의 단독응찰로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아 현 정권 내 딜은 사실상 끝난 상태다.
금융계 관계자는"현 경기상황을 감안할 때 적극적으로 나설 투자자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결국은 차기 정부로 이관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유인호기자 yih@hk.co.kr
김이삭기자 hir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