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금융지주 지배구조 논란을 일으킨 신한금융 사태가 또 다시 불거질 조짐이다.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과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이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는 3억원이 대통령 친형인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에게 정치자금으로 건네졌다는 의혹에 이어, 신한은행이 신 전 사장을 고소하기 위해 주주들의 계좌를 무단 열람했다는 민원이 제기됐다.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한은행 직원들이 (신 전 사장 지지파인) 양용웅 재일한국인본국투자협회장 계좌를 들여다 본 것으로 드러났다. 신한금융 사외이사를 역임한 양 회장은 신한금융 주식 100만주 이상을 보유한 재일교포 주주모임 회원으로, 2010년 신 전 사장의 사퇴를 반대했었다. 양 회장은 신한 사태가 벌어진 2010년 9월 신한은행이 자신과 가족의 계좌를 무단 열람했다며 금감원에 민원을 제기했으나, 금감원이 2년간 조사에 착수하지 않자 올해 5월 같은 내용의 민원을 다시 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던 당시엔 양 회장의 계좌도 조사대상이었기 때문에 금감원이 나서기 어려웠다"며 "이제 검찰 조사가 끝나 신한 사태 관련자가 대부분 기소된 만큼 누가 어떤 목적으로 양 회장 계좌를 들여다봤는지 10월 종합검사 때 확인 작업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신한 사태는 금융지주 사장을 계열 은행이 횡령 혐의로 고소해 금융계에 충격을 준 사건이다. 신 전 사장이 신한은행장 시절 회삿돈을 횡령하고 부실대출 압력을 행사해 손실을 입혔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라응찬 전 신한금융지주 회장과 신 전 사장,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 사이에 암투가 있었다는 분석이 유력하다.
이명박 정부가 정권 재창출을 위해 국내 제1의 금융지주사 회장에 호남 인사가 앉는 걸 원치 않아 당시 차기 회장 1순위로 꼽히던 전북 군산 출신의 신 전 사장을 무리하게 고소했다는 의혹도 있다. 공교롭게도 현재 강만수 산은금융, 어윤대 KB금융, 이팔성 우리금융, 김정태 하나금융 등 6대 금융지주 회장은 모두 PK(부산ㆍ경남) 출신이며, 특히 강만수ㆍ어윤대ㆍ이팔성 회장은 MB의 측근으로 꼽힌다. 라 전 회장은 경북 상주 출신이다.
검찰의 불구속 기소 이후 재판 과정에서 신한은행이 사전에 치밀하게 고소를 준비했던 정황도 드러나고 있다. 이 전 행장은 2010년 7월부터 비서실과 여신관리부 등의 직원을 동원해 신 전 사장 관련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했다. 양 회장의 계좌도 이 때 들여다 봤을 개연성이 높다.
신 전 사장과 이 전 행장이 횡령한 것으로 알려진 회삿돈 3억원의 용처도 반드시 밝혀내야 할 부분이다. 검찰은 이 돈의 사용처를 조사하지 않은 채 관련 사건을 종결했지만, 3억원이 라 전 회장의 지시로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 측에 건네졌다는 당시 박모 신한은행 비서실장의 증언이 나온 상황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신 사장을 고소하기 위해 불법을 동원한 사실은 없는 것으로 안다"면서도 "신한 사태 이후 직원들간 내부 불신이 쌓여 아직도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관규기자 ac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