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상수원인 팔당호 취수원에서 독성물질이 검출되고 낙동강에서도 녹조가 상류까지 번지는 등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당국은 "수돗물을 끓여 먹으면 안전하다"고 하지만 식수 오염에 대한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전국적인 강우 예보와 남한강 댐 비상 방류로 다소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도 있지만 효과가 제한적이어서 장기화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유례없는 녹조 이상 발현의 원인 규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점이 무엇보다 걱정스럽다. 특히 녹조와 4대강 사업의 관련성 여부를 둘러싼 정부와 환경단체 간의 논쟁은 국민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보가 강물의 흐름을 막아 체류시간이 길어지는 바람에 녹조가 확산됐다고 주장한다. 가뭄과 이상고온 때문이라는 정부 주장에 대해서는 지난달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고 기온 차이도 크지 않았다며 기후 탓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장마가 끝난 이후 현재까지 비가 거의 오지 않았고 높은 기온이 유지되는 게 원인이라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폭염과 가뭄 등 이상기후에 4대강 사업으로 생긴 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으로 보고 있다. 어느 한 가지 요소만이 원인이 아니라는 얘기다. 정부와 환경단체는 서로 자신이 옳다고 갑론을박 할 게 아니라 당장이라도 머리를 맞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정밀조사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 양측이 추천하는 신뢰성 있는 전문가들로 합동조사팀을 구성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조사를 하라는 주문이다. 공동조사를 통해 녹조 확산과 재발을 막기 위한 근본적 대책을 국민 앞에 제시해야 한다. 환경부가 지난 10일 종합대책이라고 발표한 내용은 알맹이는 빠져있고 부처간의 조율도 안된 미봉책에 불과하다. 이런 안이한 대책으로는 녹조의 확산을 막을 수 없을뿐더러 국민들의 불안감을 달래기에도 역부족이다. 정부가 국민의 우려를 조기에 진정시키지 못하면 항간에 떠도는 '녹조 괴담'이 '광우병 괴담'처럼 번지지 않으리라 장담하기 어렵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