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집값 하락에 따른 대출 부실화 우려가 높아지자 시중은행에 이어 제2금융권의 210조원대 부동산 담보대출의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우선 주택 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율(LTV)을 점검한 뒤, 위험 요소가 큰 상가ㆍ토지 담보대출로도 조사 범위를 넓힐 방침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12일 "2금융권 금융회사들로부터 부동산담보대출 관련 자료를 넘겨받아 현황을 점검 중"이라고 밝혔다. 2금융권에서 부동산 담보대출을 취급하는 곳은 농ㆍ수ㆍ신협 등 상호금융사, 저축은행, 보험사, 할부금융사 등으로 이들의 관련 대출 규모(211조원)는 금융권 총 여신(309조원)의 68.3%나 된다.
금감원은 우선 이 가운데 82조2,000억원 규모의 주택 담보대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출의 실질적인 LTV가 어느 정도인지, LTV 한도를 초과한 대출은 얼마나 되는 지가 점검 대상이다. 2금융권 대출시 LTV 한도는 상호금융사가 50~65%, 저축은행ㆍ할부금융사가 60~70%, 보험사 50~60% 등으로 대부분 시중은행(50~60%)보다 느슨하다. 특히 과거 제도의 허점이나 각종 편법을 이용해 LTV를 80~90%까지 늘린 대출이 많았던 만큼, 향후 부실 가능성이 은행보다 높다고 금감원은 보고 있다.
가령 은행에서 LTV 50%까지 대출받은 뒤, 추가로 15~20%를 2금융권에서 '후순위대출'로 받은 경우나, 여기에 편법으로 '신용대출'을 동원해 대출비율을 80~90%까지 늘린 경우가 적지 않았다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2금융권은 은행에서 거부된 대출자들이 많아 위험이 큰 곳"이라며 "집값 하락으로 LTV가 오르면 2금융권에서 먼저 회수에 나설텐데 대출자 신용등급이 낮고 연체율이 높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보통 3~6개월마다 담보가치를 재평가하는 시중은행과 달리, 2금융권 주택 담보대출은 담보가치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호금융사의 경우 평균 LTV가 49%로 안정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수치도 정확하지 않고 지역이나 대출자에 따라 편차가 상당히 클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조만간 2금융권의 주택 담보대출 외에도 상가, 공장, 토지, 임야 등을 담보로 한 상업용 부동산대출 전반으로까지 조사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상가 등 상업용 부동산담보대출(128조8,000억원)은 '고위험 고수익' 방식인데다 LTV도 적용되지 않아 부동산 가격하락에 따른 충격이 훨씬 클 것으로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김용식기자 jawoh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