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일정을 일본 언론들이 일제히 사전 보도한 것을 놓고 청와대의 소홀한 정보 관리를 지적하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국내 언론은 단 한 줄도 보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국이라고 볼 수 있는 일본 측에서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예정 기사를 보도하면서 한국 정부에 이를 중지하란 요청까지 전했기 때문이다.
당초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일정은 9일 '일정 시점까지 보도 유예(엠바고)'를 조건으로 국내 언론에 먼저 알려졌다.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비공식 브리핑을 갖고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계획을 설명한 뒤 엠바고를 요청했고 언론들은 국가원수의 안전상 이유로 관행에 따라 이를 수용했다.
국내 언론에게만 공개된 정보였으나 이후 일본 언론들과 대사관측은 오후 4시부터 청와대를 상대로 이에 대한 사실 확인에 나섰다. 서울주재 일본 모 언론사 특파원은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소문을 오후 4시쯤 전해 듣고 취재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일본 언론이나 일본 대사관 측에서 어떤 경로를 통해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사실을 인지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일본 총리실 산하 내각조사국은 각국에 주재하는 일본 상사의 직원이나 언론 특파원들을 주요 정보수집원으로 활용하고 있어 일본 정부가 이런 경로를 통해 자체적으로 정보를 취득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비록 청와대 관계자는 "철저하게 유출 경위를 파악해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서울주재 일본특파원을 상대로 조사해 조치를 취한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청와대가 대통령의 독도 방문이라는 중차대한 사안을 보안 유지가 어려운 언론에 사전 통보한 것 자체가 정무적인 판단 착오라는 비판이 나온다. 스스로 극적인 효과를 반감시킨 것은 물론 우리 국민보다 일본 국민이 이 사실을 먼저 알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다.
보안 유지를 위해서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전 러시아 대통령이 2010년 일본과 영토 분쟁이 계속되는 쿠릴열도에 극비리에 다녀간 것처럼 사전 통보 없이 전격적으로 방문했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보안을 위해선 전격 방문이 최선임을 알고 있지만 유출될 수 있음을 감수하면서 국내 언론을 고려해 사전에 엠바고를 붙이고 설명한 것은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어서 그런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주변에선 이 대통령이 비밀리에 전격 방문했을 경우 '대통령이 우리 땅에 가는데 무엇이 무서워 쉬쉬했느냐'는 여론의 역풍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엠바고를 조건으로 언론에 알린 것이란 해석도 있다.
이와 함께 '한국 정부가 사전에 일본 측에 통보했다'는 일부 외신 보도에 대해 청와대는 발끈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우리 땅에 우리 대통령이 가는데 누구한테 통보하느냐"며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그는 "일본 언론이 그렇게 쓰는 데는 의도가 있다고 본다"며 "일본 언론은 정부가 원하는 대로 따라 주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김동국기자 dk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