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기지사,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김태호 의원 등 새누리당 '비박 주자'3인이 대통령후보 경선 절차 참여를 거부했다가 이틀만에 복귀를 결정했다. 4ㆍ11 총선 '돈 공천' 의혹과 관련한 위기 수습책으로 황우여 대표의 사퇴를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게 공식 이유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완전 국민경선'요구가 묵살되는 등 그 동안 여당을 지배해 온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 중심 사고'에 대한 누적된 불만의 분출 성격이 짙다.
그렇지만 황 대표 사퇴 요구는 많이 성글고 뜬금없다. 총선 당시 원내대표 겸 핵심 비상대책위원으로 '돈 공천' 의혹에 관리ㆍ도의 책임을 느껴 마땅하고, 당 대표가 책임을 지는 정도는 돼야 국민 눈총을 누그러뜨릴 수습책이 될 수 있다는 게 '비박 3인'측의 주장이다.
그런 시각이라면 '공천 쇄신'을 정치 개혁의 핵심과제로 삼겠다던 박근혜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의 관리ㆍ도의 책임은 황 대표에 비할 바가 아니다. 또 여당 대표지만 낮은 국민 인지도로 보아 황 대표의 사퇴가 얼마나 국민관심을 끌지도 의문이다. 제기된 의혹이 사실일 가능성에 확실히 무게를 실었다면 차라리 박 전 위원장의 대국민 사과를 요구하는 게 알기 쉽다.
그저 마땅한 계기가 없어 속이 타던 마당에 '돈 공천' 의혹이란 좋은 기회를 놓칠 수 없다거나 유력한 대선후보인 박 전 위원장을 곧바로 겨누기는 부담스러워 황 대표를 대체ㆍ우회 표적으로 삼은 것이라면 그야말로 부끄러운 일이다. 새누리당 후보 경선이 형식에 그치리란 관측이 무성한 마당에 '경선 모양새'로 박 전 위원장을 을러 보려는 행태는 실소를 자아낸다.
'돈 경선' 의혹은 현영희 의원 측으로부터 3억원을 받아 현기환 전 의원 측에 전했다는 정동기씨의 제보 내용의 진위만 가리면 될 정도로 압축됐다. 따라서 진실 게임의 윤곽이 드러날 때까지라도 경선 절차에 착실히 임하고, 그 뒤에 보이콧해도 늦지 않다. 우선 보이콧하고,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최종 방침을 결정하겠다는 생각은 앞뒤가 바뀌어도 많이 바뀌었다. 아무리 '형식 경선'이라지만 공당의 경선주자로서는 어울리지 않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