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4ㆍ11 돈 공천' 의혹이 제기된 현영희 의원과 현기환 전 의원의 즉각 출당 대신 탈당 권유와 당 윤리위 회부를 택했다. 두 당사자 모두 검찰에 자진 출두해 신속한 진상규명에 협조하겠다고 다짐했고, 현 전 의원은 어제 오후 곧바로 검찰에 출두해 조사를 받았다.
새누리당의 이번 대응은 '3억원을 주고 비례대표를 샀다'는 의혹에 대한 진위 논란이 이어지는 것 자체가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대선가도에 걸림돌이 될 수 있어 사실 여부를 떠나 선제적 대응을 서둘러야 한다는 정치 논리와는 동떨어진다. 당사자들이 워낙 강하게 '사실 무근'을 주장해 지도부가 이를 깔아뭉개고 강제 출당을 택하기는 어려웠다고 한다.
새누리당 지도부의 이런 결정이 앞으로 길어질 진실게임의 정치적 부담을 정면으로 지겠다는 각오에서 나왔다면 새롭게 평가할 만하다. 당사자들의 적극적 수사 협조 자세도 일단 부인하고 버티던 구태와는 많이 다르다. 그러나 거꾸로 당 차원의 징계가 '돈 공천'을 기정사실화 하게 되어 부담이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에서 나온 선택이라면 그 어리석음을 두고두고 후회할 만하다. 당 차원의 진상조사는 당사자의 해명과 주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반면 반증을 확보할 수단이 마땅찮다. '사실 무근' 결론에 기울기 십상이어서 그 결과를 수긍할 국민은 많지 않다.
검찰 수사라고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런 종류의 의혹에 대한 국민 일반의 인식과 대통령 선거가 몇 달 앞으로 다가온 시기적 특수성에 비추어 검찰에 주어진 '사실 여부' 규명 과제는 실제로는 '사실' 확인 한쪽 방향이다. 수사를 서둘러 '사실 무근' 결론에 이르면 '정치 검찰' 비난을 부르고, 돌다리를 두드리듯 공을 들이다가는 '봐주기 수사' 논란을 부르기 십상이다. 그렇다고 시간에 쫓겨 무리한 수사에 매달렸다가는 정반대 쪽의 반발에도 시달려야 한다.
장기 논란으로 접어들 조짐을 보이는 이번 의혹을 다룰 검찰의 고민이 어느 때보다 깊을 만하다. 날로 국민의 궁금증이 커지는 가운데 검찰이 이런 진퇴양난을 어떻게 헤쳐나갈지 눈길을 떼기 어렵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