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올 상반기 4대강 수질 측정 결과를 공사 이전과 비교해 "극심한 가뭄에도 수질이 대폭 개선됐다"고 발표했다가 반발을 불렀다.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과 총인(TP), 클로로필(엽록소)a 등 세 지표로 보면 '대폭'은 아니지만 상당한 개선이 확인된다. 그러나 이를 '대폭 개선'이라고 과장한 것도 그렇고, 악화하는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측정치를 감춘 '꼼수'는 비난을 피할 길 없다.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수질 측정 대상인 4대강 66개 중권역의 평균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2.6㎎/ℓ에서 2.1㎎/ℓ로 개선됐다. 개별 중권역의 BOD 변화도 개선 45, 악화 16, 동일 5개소로 나타났다. 총인(TP)이 평균 0.149㎎/ℓ에서 0.083㎎/ℓ로 크게 줄었고, 클로로필(엽록소)a은 평균 22.9 ㎎/ℓ에서 22.0㎎/ℓ로 약간 줄었다.
이 정도면 올 상반기 강수량이 예년의 83%에 그쳤음을 감안하지 않아도 대체로 4대강 수질이 나아졌다고 볼 만하다. 가장 나쁜 영산강도 BOD 기준으로는 5㎎/ℓ에서 3.6㎎/ℓ로 나아져 머잖아 2급수에 이를 가능성을 보였다. 그냥 얌전하게 발표했으면 오히려 4대강 사업이 수질을 악화시킬 것이란 일부 우려를 덜 만했다.
그런데도 환경부는 이런 결과를 4대강 사업의 효과로 떠벌리려는 과욕을 부렸다. 스스로 "한강 22개 중권역 가운데 1개, 낙동강 33개 중 7개 권역에서만 4대강 공사가 실시됐다"고 밝혔듯, 대부분의 수질 측정 대상 지점은 4대강 공사와는 직접적 관계가 없다.
4대강 수질개선 계획에 애초에 COD 항목이 없었고, 수질예측 모델에도 BOD와 TP 항목만 있었다는 해명도 군색하다. 당장 클로로필a는 넣으면서 COD를 뺀 이유가 아리송하다. BOD와 달리 난분해성 유기물과 무기물 강도까지 보여주는 COD의 유용성을 강조해온 그 동안의 자세와도 어긋난다. 환경부가 이번 논란으로 드러난 일련의 자세와 절차를 반성하고, 하루 속히 COD 개선을 포함한 근본적 수질 개선에 매달리는 본 모습으로 되돌아가길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