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재도전에 나선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지지율, 세(勢), 이슈 선점력 등에서 '2007년 박근혜'보다 한층 업그레이드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정부 출범 이후 3년 반 동안 대세론은 견고했고, '원칙과 신뢰'이미지를 정치적 브랜드로 키웠다.
그럼에도 표의 확장성, 불통 이미지, '아버지의 유산' 등은 박 전 위원장이 12월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선 극복해야 할 아킬레스건으로 지적된다.
박 전 위원장은 다자 대결 여론조사에서 40% 전후의 지지율로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다자 대결에선 압도적 1위이지만 양자 대결에선 확실하게 격차를 벌이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특히 승부처인 수도권과 2040세대에서 상대적으로 약점을 노출하고 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의 최근 조사에서 박 전 위원장의 경우 평균 지지율(42.1%)에 비해 서울에선 4.7%포인트, 30대에선 13.4%포인트 낮았다. 4∙11 총선 때 새누리당의 수도권 정당득표율은 야권연대(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보다 5~6% 가량 낮았다. 보혁 진영이 정면 충돌한 16대 대선에서 57만 표차로 승부가 갈린 점을 떠올리면 박 전 위원장으로선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박 전 위원장의 트레이드마크인 '원칙과 신뢰'도 양날의 칼이다. '약속을 지키는 정치인'이란 기대를 갖게 하는 동시에 비박 주자들의 경선 불참 사태에서 보듯 박 전 위원장의 포용력과 융통성 부족을 지적하는 부메랑이 되기도 한다. 박 전 위원장은 "불통과 소신은 구분돼야 한다"고 말했지만 이 같은 이미지는 젊은층 득표력에 마이너스 요인이 될 수 있다. 게다가 당내 경선이 추대식과 유사하게 진행될 경우 컨벤션 효과를 거두기는커녕 야권의 다단계 경선과 대비되면서 불통 이미지만 부각시킬 수도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공'(功)은 '정치인 박근혜'를 있게 한 후광이었지만 유신과 5ㆍ16쿠데타는 '딸'의 대선 가도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다. 정수장학회 문제와 박 전 대통령 서거 이후부터 정치권 입문까지의 행적 등에 대한 야권의 거센 포화도 넘어야 할 과제다. 박 전 위원장 주변에 권위주의정권에 참여했던 인사들과 재벌 출신 인사들이 상당수 포진해 있는 점도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이명박정부와의 차별화에 어느 정도 성공했지만 어찌됐든 집권당 후보라는 점 역시 부담이 된다.
장재용기자 jyj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