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멕시코 G20 정상회의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조우한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땡감을 씹은 듯한 표정은 최근의 양국 관계를 극적으로 보여준다. 푸틴의 강한 러시아 재건 구상은 그의 대통령 복귀를 전후해 사사건건 미국과 마찰을 빚어왔다. 5월 말엔 나토의 유럽 미사일방어(MD)체제 1단계 조치에 대응해, 보란 듯이 새로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전격 발사했다. 시리아 문제로 대립각을 세우더니, 급기야 오바마가 주관한 5월 워싱턴 G8 정상회의까지 불참해버렸다.
■ 오바마를 물 먹인 푸틴이 지난달 초 만사를 제쳐두고 찾은 사람은 중국의 후진타오 국가주석이었다. 그는 중국에서 러시아 외에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4개국이 중국과 함께 참여한 안보협력체인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올해 회의에는 특히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까지 옵저버로 참석해 중동 및 중앙아시아에서 미국과 나토에 대항하는 '외교잔치'를 벌인 셈이다.
■ 요즘 미국에 대항하는 중러 협력은 정치외교분야에 그치지 않는다. 지난 5일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2012 세계미디어정상회의'는 사실 러시아가 중국에 호응해 미국과 유럽 중심의 글로벌 뉴스 유통구조를 바꾸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당초 중국 신화통신의 제안으로 출범한 이 회의는 글로벌 미디어 아젠다를 처음으로 비(非)서방권에서 주도하고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올해 2회째를 맞아 러시아 이타르타스통신이 흔쾌히 주관을 맡은 것도 그 때문인 셈이다.
■ 중국에 대한 러시아의 협력은 푸틴의 새로운 동진(東進)정책과도 관련이 있다. 9월 블라디보스토크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더욱 힘을 받고 있는 러시아의 동진정책은 역내 영향력 확대라는 목적 외에, 중국 및 우리나라와의 경협 확대를 통한 극동지역 균형개발과 같은 경제실익을 노린 것이기도 하다. 표트르 대제의 유럽화 정책 이래, 러시아의 동진 의지가 그나마 최고조에 이르렀던 건 19세기 시베리아횡단철도 부설 때라고 한다. 중국을 활용한 푸틴의 새로운 동진정책이 주목된다.
장인철 논설위원 icj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