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사립대들이 입학전형료 수입을 교직원들에게 과다하게 지급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정보공시 홈페이지인 대학알리미에 공개된 2011년 대학 입학전형료 사용내역을 분석한 결과다. 고려대의 경우 입학홍보처 직원들에게 평균 1,000만원씩 수당을 나눠줬다. 연세대는 논술ㆍ면접고사 출제위원들에게 하루에 75만~100만원을 지급했다. 반면 서울대와 부산대 등 국립대는 출제위원 수당으로 8만~25만원을 지급해 대조적이었다.
지난해 전국 181개 4년제 대학은 입학전형료로 1,962억원을 거둬들였다. 대부분의 대학들은 전형료 수입에서 지출을 뺀 차액으로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을 남겼다. 동국대는 18억원이 남았고, 서울시립대와 수원대는 12억원, 을지대는 10억원, 경기대는 8억원이 남았다. 대학들은 수험생들로부터 거둬들인 입학전형료를 이렇듯 흥청망청 나눠가졌다.
입학전형료 출처를 세부적으로 공개한 대학들은 그나마 양심적이다. 상당수 대학은 마지 못해 홍보비, 입시수당 등으로 두루뭉실하게 내역을 기재했을 뿐이다. 그 돈이 어디에 쓰이는지 알 도리가 없다. 전형료 수입으로 공과금 납부, 기자재 구입에 쓰거나 심지어 총장배 테니스 대회 개최나 직원 국외연수비로 사용하는 대학도 있다고 한다.
학교당 입학전형료는 대개 7만~8만원으로 수험생이 10여개 대학을 지원할 경우 전형료가 100만원에 이를 만큼 가정에 부담을 준다. 하지만 입학전형료가 적정한 수준인지, 또 대학들이 전형료를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검증할 방법이 없다. 대학들이 턱없이 비싼 입학전형료를 받아 직원들끼리 '돈 잔치'를 벌이는데도 교육당국은 팔짱만 끼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달 전형료 책정과 환불 근거 등을 담은 관련 법령을 입법예고했으나 불투명한 전형료 문제를 해결할 방안은 빠져있다. 국내 대학은 영국처럼 원서 하나로 여러 대학을 지원케 하거나 미국처럼 공동원서 양식을 도입해 전형 비용을 낮추는 노력은 외면하고 원서장사를 해서 배를 불리고 있다. 대학들이 그런 비난을 받지 않으려면 입학전형료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최소한의 실비만 받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