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외변수의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다. 그리스 위기의 스페인 확산, 미국 고용지표 악화 등으로 지난 주말 세계증시는 크게 요동쳤다. 미국 다우존스지수가 2년여 만에 최대폭인 2.22% 급락했고, 독일 DAX지수는 3.4% 폭락했다. 우리 증시에도 영향을 미쳐 어제 코스피가 3%에 육박하는 급락세 끝에 1,800선 아래로 밀렸다. 하지만 증시가 요동친다고 위기가 닥치는 건 아니다. 막연한 불안감에 휩쓸리기 보다는 차분하게 파고를 넘을 대책을 다질 때다.
우리 경제 상황을 두고 '퍼팩트스톰(perfect stormㆍ거대폭풍)'이란 비관적 용어가 나돌기도 한다. 유로존 위기의 여파로 금융뿐 아니라 실물경제 악화조짐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수출은 전년 대비 7~8% 성장 기대와 달리, 지난달까지 전년 동기 대비 3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지난달 중국 유럽연합(EU) 미국 등 3대 시장 수출은 각각 -10.3%, -16.4%, -16.5%로 급감했다.
내수 역시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올 1~4월 자동차 판매는 전년 동기에 비해 8% 가량 감소했다. 3월 소매판매액은 전월에 비해 2.7% 감소했다. 한국은행은 1분기 민간소비가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에 그쳤다며 소비둔화를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900조원을 돌파한 가계부채를 감안할 때, 내수침체 역시 장기화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하지만 지금은 종금사 대외부채나 기업 과투자에 따른 은행부문의 위험 등 1997년 외환위기 당시의 '취약고리'는 없는 상황이다. 저축은행 부실은 1ㆍ2차 구조조정을 거쳐 상당히 완화됐고, 3,000억 달러를 넘어선 외환보유액과 국제 공조체제로 대외지급능력도 현저히 개선됐다. 물론 집값 하락 등에 따른 가계부채의 위기촉발 가능성은 있으나 아직은 연착륙이 가능한 상황이다.
다만 대선을 앞둔 정치권의 갈등이 위기를 증폭시킬 여지는 경계해야 한다. 97년 위기 때도 노동법 파장과 한보ㆍ기아 처리를 둘러싼 정쟁이 위기 대처능력을 현저히 떨어뜨렸다. 정치가 경제정책을 난맥에 빠뜨리지 않도록 초당적 협력이 요구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