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경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가 2010년에도 논문 사진조작으로 징계를 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서울대의 안일한 대처가 도마에 올랐다. 서울대가 2005년 국제 과학계에 큰 충격을 던진 황우석 전 교수의 논문 조작 사건으로 홍역을 치르고도 연구부정행위에 대해 제 식구 감싸기 식 솜방망이 징계에 그침으로써 이번 사태를 불렀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각기 다른 실험에 같은 사진 중복 게재에 "오류였을 뿐 조작은 없었다"는 해명까지. 최근 국제학술지 10곳에 발표된 논문 14편에 제기된 문제와 강 교수의 대응은 2년 전과 판박이다. 강 교수는 이들 논문에서 같은 사진을 이어붙이거나 밝기를 조절해 다르게 보이게 하는 수법 등으로 중복해 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다만 2010년의 경우 국제학술지 에 투고된 논문 리뷰를 담당한 눈 밝은 심사자가 이를 적발해 논문이 발표되지 않았다.
그러나 당시 서울대는 해당 학술지로부터 이 같은 사실을 통보 받고 연구진실성위원회에서 연구부정행위로 결론을 내렸는데도 구두경고만 했다. "실수였다"는 강 교수의 주장을 받아들이더라도 지나치게 가벼운 징계였다. 서울대 연구윤리지침은 '실수에 의한 데이터 오류' 역시 연구결과를 거짓으로 만드는 위조, 조작으로 연구결과를 변경하는 변조,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나 연구기록을 도용하는 표절과 같은 급의 연구부정행위로 적시하고 있다.
결국 강 교수는 이후에도 꾸준히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고, 이들 중 상당수가 2010년과 마찬가지로 사진 조작 의혹에 휘말렸다. 솜방망이 처벌이 화를 불렀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사실 국내 대학들이 황우석 사태 이후 연구부정행위 검증시스템을 강화했다지만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실명 제보 원칙도 그 중 하나다.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의 경우도 실명 제보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무분별한 음해성 제보를 차단한다는 취지이긴 하지만 '내부 고발자'가 오히려 불이익을 받는 국내 학계 풍토상 실명 제보만으로 문제를 적발하기는 어렵다. 이 때문에 이번 사건처럼 연구부정행위가 국내 학계에서 걸러지지 못하고 국제학술지들에 제보돼 국제적 망신을 자초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서울대 한 교수는 "논문에 쓰인 사진 조작은 엄연한 범죄인데 경고만 주고 에둘러 넘어간 게 의아하다"며 "한번 논문을 조작했던 곳에서 다른 논문을 낸다고 해서 그걸 누가 쉽게 믿어주겠냐"고 지적했다. 한 사립대 교수는 "논문조작 사건을 처음 겪는 것도 아니고, 2005년 황우석 전 교수에 이어 같은 수의과대에서 똑같은 일이 연달아 벌어지는 게 한심하다. 서울대가 겉으로만 연구윤리 강화를 외친 건 아닌지 반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무더기 논문 조작 의혹에 대한 서울대의 대처도 이런 의구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서울대는 애초 국제학술지 에 발표된 강 교수의 논문 2편이 사진 조작 혐의로 철회된 사실을 통보 받고도 "ARS의 최종 판단이 내려지면 연구진실성위를 소집해 처리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다 29일 언론 보도가 나가고 사태가 커지자 부랴부랴 연구진실성위를 소집했다. 서울대 한 교수는 "대학이 연구윤리 강화에 적극 나서도 모자랄 판에 등 떠밀리는 식으로 연구진실성위를 꾸린 셈이 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변태섭기자 liberta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