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버스 운송사업자조합과 노조가 16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임금 인상을 놓고 조정 협상을 벌였으나 이견이 커 17일 새벽까지 협상에 난항을 겪었다. 그러나 서울시와 노조가 잇따라 새로운 협상안을 제시하면서 막판 타결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노사 양측은 지난달부터 모두 7차례에 걸쳐 교섭을 진행했으나 노조의 임금 9.5% 인상과 버스 감차 계획 철회 요구를 사측이 거부하면서 합의에 실패함에 따라 최종 협상 만료 시한인 이날 자정까지 치열하게 협상을 벌였다. 노조는 한 때 협상결렬을 선언하며 퇴장하기도 했다.
2004년부터 버스 준공영제 시행으로 매년 버스사업자들의 적자를 시 재정으로 보전해주고 있는 서울시는 그간 시내버스 노조의 임금 인상요구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강경 방침을 고수해왔다. 서울시내 버스 기사들의 지난해 평균 연봉이 4,036만원에 달하는 등 2004년 버스 준공영제 도입 이후 처우가 크게 개선됐는데도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는 것이 서울시의 판단이다.
서울시는 그러나 시내버스의 교통 분담률이 25%에 달하는 점을 고려해 당초 임금 2~3% 인상에서, '올해 임금 2% 인상 후 내년 6% 인상'안을 제시했으나 노조측이 이를 거부하자 다시 '3.3% 인상에 무사고 포상금 3만원'안을 막판에 제시했다. 서울시는 조정협상이 실패할 경우 17일 열릴 서울시내버스 운송사업자조합과의 회의를 통해 최종적인 조율을 시도할 방침이다.
한편 서울시 버스노조도 대중교통을 볼모로 파업에 나서는 것에 대한 시민들의 비난 여론을 의식한 듯 이날 임금 인상률 9.5% 고수에서 한 발짝 물러났다. 이날 조정위원회에 참석한 서울시내 버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서울시가 시내 버스 운전기사들의 평균 임금이 모두 4,000만원을 넘는 것처럼 언론 플레이를 한 사실에 분노한다"면서도 "당초 목표인 9.5% 임금 인상 목표를 낮춰 협상에 임했다"고 밝혔다. 당초 기본급 인상률 5.8%를 제시했던 노조는 막판에 4% 인상 카드를 꺼내 들어 타협이 가시권에 들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서울시내 버스 노조의 파업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노조는 이날 조정이 최종 실패할 경우 17일 오후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기로 했다. 서울시 역시 김상범 제1부시장을 비상수송대책본부장으로 하는 긴급상황실을 설치하는 한편 서울시 공무원 및 산하기관 직원 등 총 6만9,000여명의 출근 시간을 1시간 늦추고 25개 자치구별로 버스를 임대해 출퇴근 시간에 투입하는 등의 대책 마련에 나섰다.
김대성기자 lovelily@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