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위원회(위원장 유장희)가 어제 56개 대기업의 동반성장 지수를 처음 발표했다. 지난해 동반성장 협약체결 당시 대기업의 약속이행 정도를 대기업이 제출한 실적자료와 공정거래위원회가 현장 확인한 이행 평가, 5,200여 1, 2차 협력업체에 대한 동반성장위의 방문조사로 얻은 체감도 지수를 합친 결과다.
최상위 등급인 '우수'에 6개 기업, 다음 등급인 '양호'에 20개 기업, '보통'에 23개 기업, 맨 아래 '개선'에 7개 기업이 각각 속했다. 모든 평가가 그렇듯, 이번 평가 결과를 두고도 '우수'나 '양호'를 받은 기업과 '보통'이나 '개선'을 받은 기업의 희비가 당장은 엇갈렸다. 그러나 앞으로 해마다 발표될 지수인 데다 애초에 평가절차에 참여하지 않은 대기업이 훨씬 많다는 점에서는 56개 참여 기업은 동반성장 의지 측면에서 특별한 차이를 두기 어렵다.
더욱이 동반성장 지수 평가는 일부 상징적으로 따르는 인센티브 부여 여부가 목적이 아니다. 그보다는 의지와 실천의 확산을 통해 사회적 공생 분위기를 진작하자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각 기업은 이번 첫 평가 결과에 연연하는 대신 내부적으로 설정한 동반성장 목표를 새삼 확인하는 계기로 삼아 마땅하다. 그래야만 동방성장을 사회적 당면과제로 설정한 현실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고, 기업 내부는 물론 협력업체에 대한 행위 양식, 즉 기업문화의 진화를 겨냥할 수 있다. 그런 진화를 통해서만 재계의 은근한 반발과 불만이 여전한 동반성장위 주도의 평가제도가 무의미해질 수 있다.
우리는 원칙과 현실을 적절히 살린 동반성장위의 지혜에 주목한다. '우수'기업만 발표하라는 일부 요구를 거부하고 4등급 모두를 발표한 반면, 같은 등급에 속하더라도 상당한 차이가 나는 개별지수는 가렸다. 바람직한 변화를 권장하되, 대기업의 편의적 발상에 동조하지는 않겠다는 뜻이다. 동반성장위가 앞으로도 이런 자세를 지속, 대기업의 변화 노력을 자극해야 한다. 무엇보다 이번 발표가 평가에 참여하지 않은 대기업에 대한 참여 압력으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