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이번 주말로 예정된 3차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앞두고 업계가 초긴장 상태다. 작년 9월 적기시정조치(부실 금융회사에 대한 경영개선 처분)가 유예된 4개 저축은행 중 3개에 대해선 금융당국 이미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저축은행은 본사 사옥과 알짜 계열사까지 매각하는 등 생존을 위해 필사적으로 뛰고 있으나, 최소 한두 곳은 영업정지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흘러나온다.
3일 금융당국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퇴출 위기에 놓인 4개 저축은행은 외자유치와 자회사 매각 등 생존 방안 마련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상대적으로 자산규모 등이 큰 S저축은행은 지난해 100억원의 유상증자에 이어, 작년 말과 올해 초 서울 대치동과 역삼동 건물을 각각 594억원과 990억원에 매각했다. 또 알짜 계열 저축은행을 730억원에 팔아 재무구조를 개선했다.
이를 통해 2,000억원이 넘는 자본을 확충했으나, 당국의 최근 검사에서 부실 여신이 또 드러나 수백 억원의 대손충당금을 더 쌓아야 할 처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S저축은행은 추가 유동성 확보를 위해 3억달러(약 3,300억원) 규모의 외자유치에 나섰다. S저축은행의 생사는 당국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시간을 더 주느냐 여부에 달린 셈이다.
H저축은행도 외자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 저축은행은 작년 말 사옥 매각, 유상증자 등을 통해 1,2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했지만, 여전히 안심할 수 없어 현재 3개 계열 저축은행의 경영권을 담보로 2억달러 규모의 외자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외자유치는 회사가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이라며 “경영권까지 내놓은 만큼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M저축은행은 작년부터 자사 소유 골프장 매각에 주력했으나, 부동산경기 침체로 매각이 여의치 않아 유동성 확보에 비상이 걸리자, 최근 계열 저축은행 매각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H저축은행은 자구계획을 거의 이행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해 300억원 규모의 무수익여신(NPL)과 100억원대 부동산을 처분해 자본을 확충했으며, 최근에는 계열 저축은행 지분 30%를 240억원에 매각했다. 이 저축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에 제출한 자구계획을 사실상 완료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관건은 이들 4개 저축은행의 막판 몸부림을 금융당국이 어떻게 평가하느냐다. 당국은 아직까지도 이들이 내세운 자구계획의 실현 가능성을 낮게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일부 저축은행 대주주의 경우 불법대출은 물론 배임 횡령 등의 비리도 적발된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해 영업정지 된 대다수 저축은행에서 각종 불법이 자행됐던 것으로 드러났다”며 “검사를 마친 금융당국이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것도 대주주의 비리 혐의가 적발됐기 때문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 업계는 부실 은행들을 자회사로 떠넘겨 부실을 더욱 부추긴 금융당국이 이제 와서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생존의 길을 터주지는 못할망정 고사시킬 방법 찾기에만 혈안이라는 것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격앙된 목소리로 “금융당국이 정상적인 대출조차 고정이하 여신이나 회수의문으로 평가하는 등 응급환자에게서 산소호흡기마저 빼앗는 식의 부당한 검사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이대혁기자 selec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