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성검사 전형은 대입 수시모집에서 대학별 적성검사, 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내신)을 주로 평가하는 전형이다.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활동 즉 수상실적같은 화려한 스펙이 없어도, 논술 준비가 철저하지 않아도 지원할 수 있다는 평이 많아 중위권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적성검사 전형에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어떤 자세로 임하느냐에 따라 적성검사는 약이 될 수도 독이 될 수도 있다. 진학사의 도움말을 토대로 적성검사 전형 준비 요령을 살펴보자.
6월 모의평가 성적보고 지원
가장 위험한 태도는 미리 적성검사 전형부터 염두에 두고 내신, 수능 공부를 소홀히 하는 것이다. 6월 모의평가 때까지는 내신 및 수능 학습을 철저히 하고, 지원 가능한 적성검사 전형과 방법을 확인해 두는 수준에서 대비하는 것이 좋다. 6월 모의평가 성적이 나온 뒤에 수능에서 각 영역 3~4등급 이상을 받기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자신의 성적대에서 지원 가능한 대학의 적성검사 전형을 고려해야 한다.
제한된 6회 수시지원 분배 잘해야
올해부터 수시모집 지원횟수는 6회로 제한되는 만큼 수능 전 수시모집에 이 6번의 기회를 모두 써버리지 않도록 전략을 세워야 한다. 수능 전에는 상향지원, 수능 이후에는 안정 지원을 해야 하는데, 6회를 응시했다가 모두 낙방할 경우 대안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즉 6회를 어떻게 ▦수능 전 ▦수능 후로 나눠 ▦상향 ▦적정 ▦안정 지원할 것인지 고려해 계획을 세우다.
교과형 출제가 늘어나는 추세
일단 지원 대학을 정했다면 적성검사를 준비해야 한다. 최근 적성검사는 단순한 IQ테스트 수준을 넘어서는 문항이 많이 나온다. 교과형 문항의 비중이 커지고, 응시 시간이 짧아지고, 문항수가 늘어나는 것도 특징이다. 따라서 내신ㆍ수능 문제 중 난이도가 낮은 문제들을 빠른 시간 안에 푸는 연습을 하는 게 효과적이다. 특히 교과형 문항 외에 각 대학마다 출제되는 유형에 대해서는 지원할 대학을 정한 후에 기출문제 유형에 맞춰 연습해야 한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올해 수시모집 6회 제한에 따라 적성검사 전형의 지원율이 낮아질 것으로 보이지만 적성검사는 사전 준비가 잘 되어 있지 않으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혜영기자 shin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