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11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차지한 새누리당은 무엇보다 '박근혜 효과'를 승리의 일순위로 꼽은 반면, 민주통합당은 공천 과정 등에서 보인 당의 실책과 지도부 리더십의 한계 등이 겹치면서 패배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새누리당 이혜훈 중앙선대위 상황실장은 "철저한 변화와 쇄신을 이루려는 진정성이 전해진 것 같다"면서 "뭐라 해도 역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힘이 승인"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 실장은 "선거운동기간 박 위원장이 유세를 다녀간 지역에선 곧바로 지지율이 상승하는 것을 당 자체 여론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당이 내세운 '거야 견제론'도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야권 연대가 국민 불안감을 가중시켰다는 것이다.
이 실장은 "야권이 과반이 되면 결국 소수의 강성 급진세력이 대한민국을 흔들 것이란 걱정을 국민에게 진솔하게 말씀 드렸는데 관심을 가져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이 수도권에서 고전한 것과 관련해서는 "민생 정책을 꾸준히 실천해 신뢰를 얻는 방법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통합당 김기식 전략기획위원장은 "정권 심판을 원했던 야권 지지층이 충분히 결집하지 못했다"며 "당의 지지도가 높았던 2월 임시국회에서부터 총선까지 공천 잡음 등 당이 여러 차례 국민을 실망시킨 부분이 있었다"고 실책을 인정했다. 당의 잇따른 전략 미스로 정권심판론을 바라는 국민의 열망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당 내부에서는 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제주해군기지 건설 반대 주장으로 여권의 공격 빌미를 제공한 것과 야권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발생한 파열음 등이 겹친 것도 패인으로 꼽고 있다.
이와 함께 새누리당과 달리 대선 주자가 전면에 나서 총선을 지휘하지 않은 것도 중요한 패배 요인으로 꼽혔다. 김 위원장은 "이번 총선이 미래 권력을 선택하는 의미도 담겼는데, 우리는 대선주자가 선거를 지휘하지 않아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 노원갑 김용민 후보의 막말 파문에 대해 "수도권에서는 젊은 층이 오히려 결집한 측면이 있는데 비수도권에선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공식 등록한 후보라는 점에서 당이 취할 수 있는 조치에 한계가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야권연대에 대해서는 "수도권에서는 위력을 발휘했지만 비수도권에선 견제론이 작용해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송용창기자 hermee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