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11 총선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민심은 크게 엇갈렸다. 서울 등 수도권에서는 정권 심판론이 힘을 발휘했지만, 새누리당 텃밭인 영남을 포함해 충청, 강원 등의 민심은 불안한 야권 보다는 안정 속에서 쇄신을 모색한 여권을 선택했다. 결과적으로 여당이 내세운 '미래를 위한 변화'가 야당의 '정권 심판론'을 덮었다는 평가다.
당초 정권심판론이 이번 총선의 이슈로 등장해 야당이 총선에서 압도할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공천 과정을 거치면서 민주당이 잇단 실책을 저지른 데다 민간인 불법사찰, 민주당 김용민 후보(서울 노원갑)의 막말 파문 등을 두고 여야간 공방전이 가열되면서 정권심판론의 동력은 떨어졌고 이는 곧 총선 결과로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야권에게 유리했던 선거 구도가 뒤집힌 것은 무엇보다 야당의 실책 때문이라고 입을 모았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모바일 경선 악재, 공천 잡음 등 당내 마찰이 지속됐고 김용민 막말 파문에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등 야당이 여러 악재를 자초했다"며 "선거 쟁점도 제대로 잡지 못해 심판론의 구도를 놓치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여야가 초접전을 벌이는 상황에서 막말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김용민 후보가 끝까지 버티면서 중도층의 급격한 표 이탈을 불렀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방에서는 '박풍'(朴風ㆍ박근혜 바람)이 정권심판론을 압도했다.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전국을 도는 강행군 유세를 계속하면서 '이념 투쟁에 몰두하는 야권 대신 미래를 선택해 달라'고 호소한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민주당이 통합진보당과 맺은 야권 연대도 야권의 수도권 박빙 지역의 승리엔 도움이 됐지만, 비수도권에서 참패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와 제주 해군기지 백지화 등 통합진보당의 급진적 공약에 민주당이 끌려가는 모습을 보이면서 중도층이 등을 돌렸다는 것이다.
권혁주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원칙과 정책 방향이 뚜렷하지 않아 민주당이 국회를 장악했을 때 국정 방향이 불확실하다는 불안감이 커졌다"며 "민주당이 민생을 살피는 수권정당으로서의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해 보수 중도층의 신뢰를 잃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서는 2030 세대를 중심으로 한 정권심판론이 여전히 위력을 발휘했다. 전문가들은 "야당의 여러 실책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에서나마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현정부에 대한 젊은 세대의 불신을 보여준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실제 이번 투표율이 54.5% 기록한 2010년 6ㆍ2 지방선거에 근접하는 54.3%를 보여 2030세대가 대거 투표장에 나와 수도권 승패를 좌우했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송용창기자 hermee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