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대표로서…" 국회의원들이 가장 애용하는 표현 중의 하나가 '국민의 대표'라는 말이다. 국민들이 투표를 통해 뽑은 각 지역의 대표가 국회의원이니 당연한 얘기다.
4ㆍ11 총선을 1주일 여 앞두고 여야 후보들이 거리 유세에 여념이 없지만 이것만으론 이들이 과연 '국민의 대표' 자격을 갖췄는지 판단하긴 어렵다. 이런 측면에서 TV토론회는 유권자들이 후보 자질 등을 따져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일부 후보들이 선거관리위원회와 방송사 주관의 TV토론회를 거부해 눈총을 사고 있다. 대부분 각 당의 텃밭에 나선 후보들이거나 상대 후보보다 지지율이 다소 앞선 것으로 나타나는 후보들이다. 한 차례씩 가져야 하는 선관위 토론회에 불참할 경우 400만원의 과태료를 내야 하지만 개의치 않는다는 분위기다.
새누리당 박선희(경기 안산 상록갑) 후보는 지난달 31일 진행된 선관위 주관 토론회 도중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관련 질문을 받고는 갑자기 자리를 떠서 관계자들을 당황케 했다. 박 후보는 15분 정도 지난 뒤 되돌아왔지만 상대 후보의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민주통합당 정호준(서울 중구) 후보는 3일 진행된 선관위 주관 토론회에 아예 참석하지 않았다. 정 후보 측은 "목 상태가 좋지 않아 진단서를 끊어 선관위에 제출했다"고 해명했지만 상대방인 새누리당 정진석 후보는 사회자와 1대 1 대담 형식의 토론회를 가져야 했다. 새누리당 김태기(서울 성동갑), 새누리당 김정훈(서울 금천) 후보도 토론회에 불참했고, 같은 당 서용교(부산 남구을) 후보는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
토론회를 거부하는 대다수 후보들은 "지지율에서 앞서 있는데 괜히 상대 인지도만 높여주는 게 아니냐"고 생각하는 것 같다. 또 당의 전략공천으로 낯선 곳에 출마한 후보들의 경우 지역 현안 파악이 안돼 토론회를 피하고 싶을 것이다. 일부 정치 신인의 경우 "토론회를 거부하고 싶어서가 아니라 TV 울렁증이 있어서"라고 호소하는 이들도 있다.
이유가 무엇이든지 국민의 대표가 되겠다면서 출마해놓고 TV토론회를 거부하는 것은 당당하지 못한 처사다. TV토론회 거부는 유권자들의 판단 기회를 빼앗는 것이나 다름없다.
신정훈 정치부 기자 ho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