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20일 4•11 총선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발표하자 각 당의 당선권이 어느 수준에서 결정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비례대표 의석은 전체 의석(300석)의 18%인 54석이다.
비례대표 의석 배분은 정당 투표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2004년 17대 총선부터 유권자들은 지역구 후보와 지지 정당에 투표하는 1인2표제를 행사하고 있다. 종전까지는 지역구 의석을 기준 삼아 각 당에 전국구(현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했다. 공직선거법 189조에 정당이 비례대표 당선자를 내기 위해서는 유효투표 총수의 3% 이상을 획득하거나 지역구에서 5석 이상의 의석을 차지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 같은 요건을 충족하는 여야 정당은 정당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정받는다. 18대 총선을 예로 들면 당시 지역구 5석 이상 혹은 정당 지지율 3% 이상을 기록한 6개 정당 중 한나라당(현 새누리당)이 40.66%의 득표율을 기록해 22석을 차지했다. 당시 민주당은 15석을 얻었다.
최근 정당 지지율을 바탕으로 전망하면 새누리당은 22~24석, 민주통합당은 20~23석, 통합진보당은 3~6석 가량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자유선진당, 국민생각, 진보신당 등도 약간의 비례대표 의석을 차지할 가능성이 있다. 민주통합당은 창당 직후 한때 지지율 1위를 기록했으나 최근 새누리당 지지율이 약간 상승세를 보이면서 민주통합당을 추월했다.
제3당을 꿈꾸는 통합진보당의 유시민 공동대표는 비례대표 12번까지 당선을 목표로 설정했지만, 이는 정당 득표율 20% 가량을 달성해야 가능하다. 17대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은 13%를 기록해 비례대표 8석을 차지한 적이 있다.
박석원기자 s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