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민간인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 사건 재수사 결정으로 다시 수사 대상에 오른 당시 청와대, 총리실 소속 인사들의 근황에 대해서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장진수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에게 대포폰을 주고 증거인멸을 지시한 의혹을 받고 있는 최종석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은 지난해 8월 미국 워싱턴의 주미 한국대사관 주재관으로 발령받아 근무 중이다. 최 전 행정관은 장 전 주무관의 청와대 개입설 폭로 이후 집중적인 언론 취재의 대상이 됐지만 접촉을 피하며 입을 닫고 있다.
증거인멸 과정의 가장 윗선이자 이번 사건의 몸통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은 행방이 묘연하다. 2010년 7월 검찰 수사 당시 공직을 떠난 그는 주변인사들과도 연락을 끊고 잠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고향인 경북 포항이나 주거지인 서울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언론 취재에는 일절 응하지 않고 있다.
최 전 행정관과 이 전 비서관은 최우선 수사 대상인 만큼 이들의 신병 확보가 검찰의 시급한 과제가 될 전망이다.
1차 수사 당시 공직윤리지원관실 책임자로 기소됐던 이인규 전 지원관은 항소심에서 징역10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복역한 후 지난해 5월 출소했다. 장 전 주무관의 직속상관으로 증거인멸을 지시한 혐의로 기소됐던 진경락 전 기획총괄과장도 항소심에서 징역10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고 풀려났다.
장 전 주무관의 녹취록을 보면 증거인멸 과정에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개입 정황도 드러난 만큼 권재진 당시 민정수석도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8월 법무부장관에 오른 권 전 수석은 "이번 사건에 대해 언급하는 것 자체가 적절하지 않다"며 언론보도와 수사상황을 지켜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가 증거인멸 과정뿐만 아니라 2008년 당시의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으로까지 확대된다면 그때의 청와대 민정 라인도 수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당시 민정수석이었던 정동기 전 대검 차장은 4ㆍ11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 서울 강남을 후보로 나섰지만 공천을 받지 못했다. 이강덕 당시 공직기강팀장은 부산, 경기경찰청장을 거쳐 서울경찰청장으로 재직 중이며 차기 경찰청장 후보 1순위로 거론되고 있다.
강철원기자 str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