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의 지나친 정치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상급단체인 한노총과 민노총이 정치적 지분을 노리고 특정 정당에 합류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다. 이채필 노동부장관이 "한국노총의 정치활동은 정도를 벗어난 일"이라며 법적 조치까지 거론한 데 이어, 이희범 경총 회장도 노조의 편향적인 정치집단화를 비판했다.
노동계 내부의 불만과 반발도 만만찮다. 지난달 26일에는 한국노총 정기 대의원대회가 정족수 미달로 인해 처음으로 무산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노동운동과 정치의 분리를 주장하는 대의원들이 이용득 위원장의 민주당 최고위원 겸직에 불만을 품고 불참했다. 조직적 연대를 하고 있는 통합진보당을 버리고 조합원 1,000여명과 민주통합당에 입당한 이석행 전 민노총 위원장에 대한 시선도 곱지 않다.
과거에도 노조 간부들의 국회 진출은 꾸준히 있었다. 법도'주로 정치운동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한'자유롭게 허용하고 있다. 그렇다고 노조가 특정 정당과 합당을 선언하고 정당의 일부 지분을 받아 간부들이 당직까지 겸한다면 스스로 '독립성'을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지지나 정책연대와 달리 노조가 정당에 예속돼 노조원들의 다양한 정치적 견해를 무시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더구나 지금의 정당 참여는 조합원 전체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간부 개인의 정치적 야망을 실현하려는 의도가 강하다. 공천지분 배당에 불만을 품고 최고위원직 사퇴와 탈당, 정책연대 파기를 언급했던 이용득 위원장의 태도가 이를 증명한다. 철새처럼 지지 정당을 바꾸는 노조도 문제지만, 공천과 실현 가능성도 적은 공약으로 그들을 끌어들이는 정당들도 문제다. 결국은 표와 자리를 맞바꾸는'거래'를 하는 셈이다.
이런 분위기를 타고 각 당으로부터 공천을 받거나 경선 경합 중인 노조간부 출신이 무려 40여명에 이른다. 몇 명이 19대 국회에 들어갈지 모르지만, 과연 그들이 개인적 욕심과 정략에 얽매이지 않고 진정성과 균형감각을 가지고 조합원과 노동계의 입장과 이익을 대변할까. 솔직히 의문스럽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