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의 신용대출 금리가 금융위기 수준으로 치솟았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연 6.07%이던 신규 신용대출 금리가 올해 1월 7.23%로 치솟았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 12월(7.94%) 이후 3년여 만에 최고치다. 특히 아파트 계약자 집단대출 등을 제외한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1월 8%대(8.16%)를 넘어섰다. 연 8% 이하로는 개인이 은행 창구에서 신용대출을 받기 어려워진 것이다.
상승폭은 작지만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심상찮다.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올 들어 0.11%포인트 올라 연 5.06%다. 이처럼 주택ㆍ신용대출 금리가 동반 상승하자 작년 말 5.37%였던 가계대출 금리도 올 들어 5.80%로 껑충 뛰었다.
반면 은행 수신의 대표상품인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올 들어 0.05%포인트 하락했다. 은행들이 예금금리는 낮춰 돈은 더 싸게 조달하면서 대출금리만 높인 셈이다. 통상 대출금리가 오를 때 예금금리도 인상하는 걸 감안하면 이상한 셈법이다.
이는 시장금리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유독 은행 대출금리 기준인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만 오르는 탓이다. 작년 한해 3년 만기 국고채 금리와 회사채 금리는 각각 0.35%포인트, 0.28%포인트 떨어졌지만, CD금리는 0.62%포인트 급등했다.
문제는 CD금리가 이처럼 시장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금리 체계를 바꾸겠다고 공언했는데도, 은행들이 연체율 관리 등 위험관리 강화를 내세워 대출금리만 손쉽게 올리고 있다는 점이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은행들이 지점장 우대금리 등 대출금리를 낮출 수 있는 요인들을 점차 줄이면서 서민들의 이자 고통이 심해지고 있다”며 “금융위기 당시와 달리 시중 유동성이 풍부하고 시장금리가 하락하는 추세인데도 대출금리를 계속 올리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강아름기자 sara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