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탈북자의 강제북송 현황을 놓고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지 못해 입을 다물면서 혼선을 부추기는 양상이다.
우선 탈북자들이 어디서 붙잡혀 어떤 경로로 북송 되느냐에 따라 숫자가 달라진다. 탈북자가 중국 북동지역에서 붙잡히면 투먼(圖們) 수용소에 머물다가 북한 함경북도 온성 보위부로 넘겨진다. 지난 달 24일쯤 북송된 것으로 알려진 탈북자 31명이 이에 해당한다.(본보 2월29일자 8면) 이보다 남쪽에서 잡힌 탈북자는 심양(瀋陽)을 거쳐 신의주로 압송된다.
파악시점에 따라서도 현황이 달라진다. 북한으로 끌려가던 도중 돈을 주고 빠져 나오거나 중간 집결지에서 인원이 추가되기도 한다. 대북 소식통은 9일 "중국, 북한의 지인들에게 매일 연락을 시도하지만 며칠씩 불통인 경우가 많아 전화할 때마다 상황은 계속 바뀐다"고 말했다.
때문에 북송을 앞둔 탈북자들의 현 위치를 놓고도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탈북자 48명이 중국 투먼, 쿤밍(昆明)에 각각 40,8명씩 억류돼 있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심양과 안산(鞍山), 지린(吉林)에 각각 25명, 10명, 13명씩 나뉘어 있다는 전언도 있다. 최근 중국, 라오스 국경지대에서 체포된 탈북자 수도 4명, 8명으로 엇갈린다. 또한 지난 달 북송된 31명의 행방과 관련, 이 중 일부와 가족 등 21명이 이미 처형됐다는 전언과 전국 각지의 수용소로 분산됐다는 관측이 혼재하고 있다.
하지만 외교부는 탈북자 현황에 대해 "중국 정부가 확인해 주지 않는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그간 '조용한 외교' 기조에 따라 물밑에서 처리하던 문제가 수면 위로 급부상하면서 양국간 협의가 여의치 않은 게 가장 큰 이유다. 게다가 탈북자 문제는 공안에서 총괄하기 때문에 중국 외교부를 상대하는 외교부로선 한 다리 건너 정보를 얻을 수밖에 없다. 정확한 정보를 얻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 공안의 카운터파트인 국가정보원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탈북자 정보는 주로 국내 탈북 관련 민간단체에 의존하고 있다. 북한을 탈출한 경험자로서 중국 현지 브로커들과 접촉이 비교적 수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게는 10만명으로 추정되는 탈북자 가운데 수천 명이 매년 북송 되는 상황에서 이들이 전해들은 탈북자 수십 명에 대한 정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한편 민주통합당 김부겸 최고위원은 9일 개인 논평을 내고 "민주당은 탈북 난민의 강제 북송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며 "당내에 탈북자 강제북송 관련 특별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에서 이 같은 주장이 나온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