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이 파업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MBC 파업은 벌써 한 달을 넘겼고 어제는 KBS 새노조(제2노조)인 전국언론노조가 파업을 시작했다. 8일에는 YTN노조도 총파업한다. 상황은 점점 파국으로 치달아 MBC에서는 회사의 중징계와 노조원들의 집단 보직사퇴, 폭로와 고발이 이어지고 있다. 제1노조(KBS노조)가 파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KBS의 경우도 사측이 엄정대응 방침을 밝히고 있어 적잖은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방송 3사의 파업 명분과 목적은 한결같다. 정부가 낙하산으로 임명한 사장은 '언론(방송)의 공정성 회복'을 위해 물러나야 한다는 것이다. 노조가 사장 연임에 반대하고 있는 연합뉴스도 마찬가지다. 이번 파업을 순수하게만 보지 않는 시각도 있다. 이미 오래 전에 정치세력화한 방송사 내부의 권력다툼을'공영성'으로 포장한다는 비판도 있다. 정권 말 레임덕에 편승한 측면도 없지 않다.
그러나 그 동안 방송사 사장으로 임명된 인사들의 행태를 보면 그들의 책임도 크다. 이명박 정부 들어 방송사 사장은 하나같이 측근, 낙하산 인사였다. 물론 역대 어느 정부도 방송사 사장은 대부분 낙하산 인사였다. 문제는 자질이다. 과거 편향된 방송의 균형을 바로잡는 차원을 넘어 방송을 정부의 홍보수단으로 전락시켰다. MBC 사장은 공영방송의 수장으로서 최소한의 품위조차 지키지 않았다. 걸핏하면 고향에 찾아가 얼굴 내밀고, 법인카드를 사적 용도로 쓴 의혹에 대해서는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외주제작 활성화와 채널의 다양화로 방송 파업의 영향력이 과거에 비해 줄어들었다. 그렇다고 공영방송의 책무를 저버려서는 안 된다. 피해는 시청자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한 쪽의 일방적 승리를 위해 강경 대립만을 고집해서는 안 된다. 임시방편으로 계약직을 뽑아 대체인력으로 투입하면 임시 결방은 줄일지 몰라도 사태만 악화시킬 뿐이다. 그보다는 당장 대화부터 시작해 양보와 타협의 실마리를 찾는 것이 순서다. 한 달여 남은 총선에서 공영방송이 해야 할 역할이 얼마나 많은데 이러고들 있는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