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부터 아프리카 주요 분쟁지역에서 채굴된 광물을 원료로 한 전자제품 생산이 미국 내에서 전면 금지된다. 이렇게 되면 반도체 LCD 배터리 등 IT제품 핵심부품의 미국수출에도 제동이 걸릴 수 밖에 없어 국내 전자업계에 초비상이 걸렸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 정부는 기업들에 대해 콩고 우간다 르완다 앙골라 등 아프리카 9개 분쟁국가에서 생산된 탄탈륨(탄탈), 텅스텐, 주석, 금 등 4가지 광물을 이용한 부품을 쓰지 못하도록 했다. 이들 광물을 판 자금이 반군의 무기구입자금 등으로 쓰이기 때문에 이를 규제하자는 취지다. 이런 내용을 담은 금융규제개혁법(1502조)이 지난해 의회를 통과했으며, 미 당국은 6월말까지 시행령을 마련해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규제가 도입되면 미국의 모든 상장 제조업체들은 부품에 들어간 광물의 원산지를 의무적으로 표기하고, 분쟁지역 광물사용 여부를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고해야 한다. 부품원료로는 원칙적으로 분쟁국가 이외 지역에서 생산된 광물만 써야 한다. 직접적 규제대상은 미국 기업이지만, 결과적으로 미국 회사에 부품을 공급하는 외국기업들도 적용을 받게 된다.
국내 한 전자업체 관계자는 "미국 내 전자 자동차 항공회사 등에 공급되는 우리나라의 반도체 LCD 배터리 등도 모두 광물 원산지를 밝혀야 하고 분쟁지역 생산광물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미국의 애플 IBM 델 등 대기업들은 핵심부품을 공급하는 삼성전자 하이닉스반도체 LG디스플레이 등에 광물사용현황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광물의 원산지확인이 생각만큼 쉽지 않다는 것. 워낙 유통경로가 복잡해 원산지를 알기 힘든데다, 불법채굴 여부는 더더욱 알기 어렵다고 업계는 전하고 있다. 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관계자는 "특히 탄탈의 경우 반도체 배터리 등 전자부품 제조에 반드시 필요한 핵심광물이지만 콩고 르완다 등 분쟁지역 채굴의존도가 워낙 높아 사용이 금지될 경우 생산 및 수출 차질이 막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니 도요타 등 일본 기업들은 이미 부품 협력사들과 연계해 분쟁지역광물을 걸러내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대기업들도 현재 서둘고 대응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상당수 부품 공급사 및 중소기업들은 아직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진흥회 관계자는 "개별기업이 대응하기엔 너무 큰 사안"이라며 "업계 공동 및 정부를 통해 미국에도 규제의 탄력적용 의견을 개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최연진기자 wolfpac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