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유혈사태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며칠 전에도 반정부 시위 거점도시 홈스에서 시위대에 대한 정부군의 포격으로 260명 이상이 숨지고 수백 명이 다쳤다. 지난해 3월'아랍의 봄'물결로 반정부 시위가 시작된 이래 알 아사드 독재 정권은 탱크와 대포를 동원해 시위대를 무차별 진압하고 있다. 사망자가 벌써 6,000명에 육박한다. 정부군의 강경진압에도 시위대에 무장단체가 가세하면서 사실상 내전 상태로 치닫는 양상이다.
국제사회는 시리아의 유혈 참극에 무기력하다. 지난 주말 유엔 안보리는 알 아사드 대통령의 퇴진 등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러시아와 중국의 거부권 행사로 채택되지 못했다. 두 나라는 "일방적인 압력은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를 내세웠지만 다분히 자국의 이해를 우선한 반대표다. 이 같은 국가이기주의는 비난 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리비아 사태 당시 서방국가들의 공습 감행 등 일방적 행위가 이들 국가의 불신을 부추긴 측면도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시리아 사태는 알 아사드 정권의 장기 독재와 부패에서 비롯됐다. 알 아사드 대통령은 쿠데타로 집권한 아버지로부터 권력을 물려받아 2대에 걸쳐 42년간 철권 통치를 이어왔다. 지난해 독재의 수단이 되어왔던 비상사태 해제 등 미봉책을 내놓기도 했으나 퇴진요구 시위대가 계속되자 정부군을 동원해 무차별 학살로 대응하고 있다. 아버지 하페즈 알 아사드 대통령 시절인 1988년에는 2만 명을 학살한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그러나 민심을 잃은 독재자가 오래 갈 수 없다는 것은'아랍의 봄'물결에서 거듭 확인된 교훈이다. 주요국들의 이해관계와 아랍세계의 종교적 요인 등이 복잡하게 얽힌 상황이 알 아사드 정권이 버틸 수 있는 배경이 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국민의 저항은 꺾이지 않고 있다. 알 아사드 대통령은 무고한 국민 학살을 멈추고 출구를 찾아야 한다. 스스로 권좌에서 물러나는 것 외에 다른 길이 없다. 국제사회도 어설픈 압박보다는 그가 현명한 선택을 하도록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