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대기가 미세먼지는 다소 줄었으나 이산화질소가 대기환경 기준치를 초과하고 오존 농도가 거의 줄지 않는 등 종합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서울시의 대기오염도 연평균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산화질소 농도 평균은 0.033ppm으로 대기환경 기준치(0.03ppm)를 초과한다. 특히 강남구(0.044ppm)와 영등포구(0.037ppm)가 타구에 비해 높았다. 서초구(0.035ppm)와 마포구(0.034ppm)도 기준치를 초과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대기환경 기준치를 초과하는 자치구는 15개에 달했다.
시의 전체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지난해 ㎥당 47㎍(마이크로 그램ㆍ1㎍은 100만분의 1g)으로 전년보다 2㎍ 낮아졌다. 하지만 이 수치도 파리(18㎍) 도쿄(24㎍)나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기준치(20㎍)에 비해서는 2, 3배 높은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마포구(51㎍)가 가장 높아 국가기준인 50㎍을 웃돌았다. 영등포구 강남구 서초구(이상 50㎍) 등이 그 다음으로 높았다.
강남ㆍ서초ㆍ마포ㆍ영등포구의 이산화질소와 미세먼지 수치가 높은 이유는 차량 통행이 많고, 빌딩숲이 조성돼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김운수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산화질소와 미세먼지는 차량 통행이 많은 곳에서 발생하는데 고층 빌딩에 막혀 비산하지 못해 농도가 높게 측정된다"며 "서풍 영향으로 보통 서울 서쪽에서 수치가 낮았었는데 최근 도시화로 이런 경향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이산화질소가 햇빛과 반응해 생성되는 오존(O3) 농도도 지난해 평균 0.019ppm으로 전년(0.019ppm)에 비해 줄지 않았다.
시는 '2014년 서울의 공기 제주도처럼 맑아집니다'라는 구호 아래 물청소를 하고, 수억원 대의 흡입청소차를 도입하는 등 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 전문가들은 "이산화질소, 오존, 초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을 종합 관리하고 도시화를 조절을 하지 않으면 제주도 수준의 대기질을 체감하기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최준호 서울환경운동연합 부장은 "대기오염의 주원인인 차량의 서울시 등록대수가 300만대에 이르는데 박원순 시장이 지난해 발표한 대중교통계획안에는 혼잡통행료 강화 등의 교통수요 관리정책이 거의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 김운수 연구원은 "2010년 이전 출고된 차량은 배기오염 저감장치를 달아야 오염 수치를 낮출 수 있다"며 "미세먼지는 차량이 많은 지역, 건설기계 업종이 집중된 지역에 나눠 맞춤형 대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청환기자 ch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