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자발적 탐사보도의 장이 될 수 있을까. 최근 SNS 공간에서는 전통 언론이 주목하지 않는 사건의 정보를 모아 사실관계를 밝히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SNS 이용자들이 정보 공유ㆍ확산에 적극적이라는 점에서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지난 해 12월 MBC 토론 프로그램 '100분 토론'에서 트위터 피해 사례로 소개된 사연이 네티즌들의 끈질긴 의혹 제기로 방송 하루도 채 지나지 않아 허위로 밝혀졌다. SNS 규제 논란을 주제로 토론이 진행되던 중 신촌에서 10년째 냉면집을 경영했다는 이모 씨가 전화연결을 통해 "손님에게 종업원이 욕을 했다는 거짓 정보가 트위터에서 수만 건이 리트윗(RT)되면서 악평이 이어져 매출이 급감했고, 결국 폐업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방송을 시청하던 네티즌들이 실시간으로 트위터 등에서 "지명과 냉면을 함께 검색해봐도 트위터에서 냉면집에 대한 비방 글을 찾을 수 없다"는 등 이씨의 주장이 사실이 아님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을 제시했다. 확인에 나선 프로그램 제작진은 다음날 이씨가 사연을 조작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렸다. SNS를 '괴담 유포의 장'으로 폄하하던 전통 언론이 범한 오류를 SNS가 바로잡으며 SNS의 순기능을 보여준 것이다.
SNS의 월등한 전파력은 다수의 네티즌들이 이슈와 관련된 의혹을 제기하고 사실을 규명해 나가는 과정을 함께 '관전'하기 쉽게 해준다. 특정 이슈가 특정 게시판에 떠올랐다가 곧 사라지곤 했던 과거와 달리 요즘은 트위터를 중심으로 한 각 커뮤니티 게시판들이 하나의 이슈에 동시에 매달릴 수 있다. 지난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당시 국내 커피전문점 탐앤탐스의 트위터 운영자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라는 트윗을 남겼다가 큰 논란이 일자 회사 측이 하루만에 공식 블로그에 사과문과 함께 관련 팀장이 사죄하는 사진을 게재했던 일은 트위터의 빠른 전파력을 보여준 사례로 꼽힌다.
그러나 SNS의 자발적 탐사 기능과 전파력의 이면에는 개인정보의 무차별적 공개와 이에 따른 피해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이른바 '신상털기'의 경우 피해자는 하나이지만 가해자는 여럿이기에 책임 분산에 따른 집단적 무감각증이 큰 문제가 된다. 김장현 하와이대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처럼 정부의 언론통제나 제도권 미디어에 대한 불신이 강할 경우, SNS는 이런 사회적 비용을 가벼운 것으로 느끼게 하는 정당화의 기제로 기능하게 된다"며 "'언론이 못하는 걸 우리가 해 냈다'는 성취감, 정의감 등이 오류의 가능성을 제압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박소영기자 sosyou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