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첨단 스텔스 무인 정찰기(RQ-170 센티넬)의 반환을 이란에 요구했다. 이란은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의 반환 요청을 일축했다.
핵무기 개발 의혹으로 대립해온 양국의 갈등이 무인 정찰기(드론) 문제로 한층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누리 알 말리키 이라크 총리와 회담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반환 요구 사실을 공개하고 "이란의 반응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기밀인 정보사항에 대해 말하지 않겠다"며 다른 사안은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도 "이란이 지금까지 해온 행동을 볼 때 (반환 요구를) 수용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아흐마드 바히디 이란 국방장관은 "무인 정찰기는 이제 이란 소유"라며 "향후 처리도 이란이 알아서 할 것"이라고 맞섰다.
오바마의 발언은 이란이 4일 나포했다고 주장한 첨단 스텔스 무인정찰기가 미국 소유임을 미국 정부가 처음 인정한 것이다. 외교적으로 불리한 상황을 감수하면서 굴욕적인 공개 반환을 요구한 것은 그 만큼 드론에 적용된 첨단 기술의 군사적 가치가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앞서 윌리엄 코언 전 국방장관은 드론의 스텔스 기술이 중국과 러시아에 넘어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리언 패네타 국방장관은 "(드론의) 상태를 알지 못한다"며 "솔직히 이란이 얼마나 정보를 습득할지 알기 어렵다"고 워싱턴포스트에 말했다.
그러나 드론의 기술 유출 우려는 오바마 정부의 초기 대응 적절성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이란 강경책을 주문해온 딕 체니 전 부통령은 이날 CNN방송 인터뷰에서 "오바마 정부가 드론의 기술 보호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데 실패했다"며 "드론을 즉각 파괴해 이란 수중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았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박쥐 날개를 한 RQ-170 센티넬은 수시간 동안 15㎞ 상공에서 지상 움직임을 포착해내는 첨단 정찰기다. 이란은 영공을 침범한 이 드론에 사이버 공격을 가해 통제권을 장악한 뒤 안전하게 지상에 착륙시켰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드론의 관련 정보를 거의 해독했고 향후 기체를 분해해 제조 기술을 습득한 뒤 대량 생산하겠다고 공언했다.
한편 이란은 이번 사건을 미국이 드론으로 영공을 침범한 것으로 규정하고 호르무즈 해협 봉쇄 군사훈련 등 대응조치를 강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란 의회의 한 인사는 "세계가 이 지역의 불안을 원한다면 우리가 세계를 불안하게 만들어주겠다"고 경고했다. 호르무즈 해협은 전세계 거래 원유의 17%, 해상 수송 원유의 3분의 1이 오가는 길목으로 만약 봉쇄가 되면 세계 경제에 엄청난 충격을 줄 수 있다.
워싱턴=이태규특파원 t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