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재편 계절을 맞고 있다. 내년 총선을 5개월 가량 앞두고 야권이 ‘헤쳐 모여’움직임으로 분주하다. 민주당이 재야 친노세력과 시민사회를 아우르는 ‘민주진보통합정당’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진보신당 탈당파는 18일 ‘진보통합정당’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진보신당은 어떤 통합에도 참여하지 않고 독자노선을 택하려 하고 있다. 여기에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세력이 등장할 가능성까지 감안하면 야권은 크게 네 갈래 세력으로 분화하게 된다.하지만 이 같은 통합 작업이 중간에 실패하거나 여러 세력 간의 대통합 작업에 탄력이 붙을 수도 있어서 총선 때까지 야권의 이합집산이 계속될 전망이다.
민주당 ∙혁신과통합 중심의 야권 중(中)통합 어디까지
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이 주도하는 야권 중(中)통합 작업의 속도는 진보진영 통합에 비해서는 약간 더디다. 하지만 외연은 훨씬 더 넓다. 최근 한국노총이 통합 연석회의 참석을 결정한 데 이어 민주노총 산하 일부 산별노조도 동참을 타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민주노동당의 정치적 기반인 민주노총이 민주당 중심의 야권통합에 동참할 경우 민노당은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연석회의 동참 세력이 확대되면서 통합은 급물살을 타는 형국이다. 민주당을 제외한 모든 세력이 27일 창당준비위를 구성한 뒤 통합 전당대회에서 민주당과 합당하는 ‘신설합당’방식에도 합의했다. 지도부는 1인의 당 대표와 최고위원들로 구성되는 집단지도체제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통합 정당에는 야권의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정동영 정세균 최고위원,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김두관 경남지사 외에도 박원순 서울시장 등이 참여하게 된다.
하지만 민주당의 일부 당권주자들이 여전히 단독 전당대회를 주장하면서 통합 작업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통합 정당의 지도부나 지역구 총선 후보 선출 방식을 둘러싼 분쟁의 소지도 적지 않다. 한국노총과 ‘혁신과통합’이 지분을 요구하고 있다는 뒷말이 벌써부터 무성하다.
진보 소(小)통합 작업의 앞날은
진보 진영의 통합은 이날 합의로 거의 9부 능선을 넘은 셈이다. 민주노동당과 참여당, 진보신당 탈당파로 구성된 ‘통합연대’ 등 3자가 내부에서 통합 합의를 승인하는 과정만 남겨놓고 있다.
하지만 이전까지 진행됐던 진보 통합이 대부분 실패했던 경험 탓에 이번에도 막판에 유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도 있다. 당장 참여당의 추인 여부가 걸림돌이다. 당헌ㆍ당규 상 통합을 추인하기 위해 당원 8,700여명의 과반수가 투표에 참석해 3분의2가 찬성해야 하는데 이를 실현하기가 만만치 않다. 당장 민노당과의 통합에 반대하는 이병완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탈당해서 민주진보통합정당 연석회의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지는 등 분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종북(從北)문제’를 둘러싸고 민노당과 결별했던 심상정 노회찬 전 진보신당 대표 등이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노선 갈등이 재연될 수도 있다. 지분과 주도권을 둘러싼 3자 다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은 진보진영 정당을 상대로 야권 대통합 동참을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민주노동당은 “민주당과의 통합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선거연대나 정책연대 이상은 관심 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김정곤기자 jk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