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 겨울 전력대란을 막기 위해 고강도의 전력수급 안정대책을 내놓았다. 470여 건물이 대상이던 난방온도 제한을 4만7,000여 곳으로 확대하고, 최대전력 1,000㎾ 이상을 쓰는 1만4,000여 기업은 10% 사용량을 줄이도록 했다. 특별히 전력 사용이 많은 4,000여 기업은 전력사용량이 절정에 달할 내년 1월 중순에는 최대 20%까지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
정부 대책은 달리 마땅한 대안이 없는 데서 나온 불가피한 조치로 이해된다. 냉방수요 폭증으로 한여름에 전력 피크가 온다는 상식은 2009년부터 깨지기 시작해 지난 겨울 한파로 완전히 뒤집혔다. 올 겨울 강추위가 찾아오리란 예보로 보아 전력사용은 더욱 늘어 예비전력이 53만㎾ 아래로 떨어질 것이 확실시된다. 고유가 때문에 난방용 전력사용은 늘어날 조짐이고, 이미 온풍기와 온열기 판매가 크게 늘어났다는 소식이다.
이런 수요 급증 예상과 달리 공급 확대는 날로 기대하기 어렵다. 신재생 에너지 활용은 더디기만 하고, 화력발전은 온실가스 감축 과제와 충돌한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원자력 이용 확대 가능성을 한결 낮췄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요금을 현실화, 전력수요를 끌어내리는 방안도 뚜렷한 물가상승 기조를 감안하면 결코 쉬운 수단이 아니다.
따라서 새로운 에너지원 확보까지는 인위적 수요감축 노력이 유일한 대안이다. 이 가운데 건물 난방온도를 20도 이하로 낮추자는 방안은 특별한 부작용을 예상하기 어렵다. 이 기회에 주거용 아파트에서도 최소한 한겨울에 짧은 속옷 차림으로 지내지는 말자는 자발적 시민운동을 유도할 만하다.
반면 곧바로 볼멘소리가 나오듯, 산업체의 조업ㆍ 생산 감축을 부를 의무 절전에 대한 우려는 작지 않다. 올해 일본의 산업생산 위축이 지진과 해일에 따른 설비 파괴에 '5부제' 등 제한송전이 더해진 결과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기업 스스로의 절전 노력과 함께 국민적 경각심과 협조로만 막을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런 당위 앞에 누구도 예외일 수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