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국립대들이 죽어가고 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서울의 유명 사립대 못지않던 부산대 경북대 등 지방 거점 국립대들조차 학생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다. 사립대와의 등록금 격차는 줄어드는 데 반해 취업에서 갈수록 불리하기 때문이다. 우수 학생들이 오지 않으니, 학력수준이 점점 떨어지고, 자연히 기업들도 채용을 꺼리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대로 방치할 수는 없다. 수도권 집중완화, 교육의 지역적 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정부는 지방 거점 국립대를 적극적으로 지원ㆍ육성해야 한다. 한국일보가 24일부터 기획시리즈로 내보내고 있는‘고사위기, 거점 국립대를 살리자’에 그 답이 있다. 전국 고교생 1,3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85%가 등록금을 절반(연간 221만원)으로 낮추면 진학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등록금만 반으로 내린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취업의 문을 넓혀주고,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도 필수다. 지방 고교생 대부분이 지방직 공무원과 지역공기업 채용에 가산점을 주고, 실력 있는 교수가 온다면 굳이 서울에 있는 사립대에 가지 않겠다고 했다. 열악한 현실을 무시하고 지방국립대의 법인화부터 서두르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우수학생 유입, 학력 신장, 취업 확대의 선순환 구조를 통해 경쟁력을 되살리는 것이 먼저다. 서울대와 서울의 일부 사립대에 편중된 국고지원금의 과감한 조정과 학교 당국의 노력이 어우러진다면 못할 것도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