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 21기 중 절반에 가까운 10기는 경북 동해안에 밀집해있다. 울진 6기, 경주 월성에 4기다. 경주로 이전 중인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와 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양성자가속기 등 원자력 인프라도 국내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원자력 관련 연구시설 17개는 모두 타 지역에 있어 집적의 효과는 떨어지고 있다. 이에따라 경북도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경주와 포항, 영덕, 울진을 잇는 경북 동해안에 원자력 과학기술과 산업생산, 인력양성, 친환경 시설이 집적된 복합단지, '원자력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올 초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원자력에 대한 두려움이 채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원자력 클러스터' 청사진을 제시한 경북도 김학홍 일자리경제본부장의 생각을 들어봤다.
_원자력클러스터의 개념부터 정리해달라.
"원자력과 관련된 산업, 대학, 연구기관, 실증시설, 발전시설 등 모든 분야가 모인 공간을 말한다. 지금 이런 시설이 각각 분리되어 있어 시너지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도 원자력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하는 것이다. 경북은 자전거 바퀴의 중심(Hub)과 살(Spoke) 개념을 도입, 중심도시와 주변지역을 연계하는 클러스터를 구상하고 있다."
_클러스터가 꼭 경북 동해안이어야 하는가.
"경북에는 10기의 원전이 가동 중이다. 월성과 울진에 각 2기가 건설 중이며, 울진에는 추가 2기가 계획돼있다. 경주에는 또 방폐장도 건설 중이다. 그런데도 원자력 연구시설이 하나도 없다. 국내에서 원전이 집적된 경북에 문화와 교육, 과학벨트 DUP연합캠퍼스, 원자력 관련 연구단 유치 등 연구기관을 같이 조성해야 시너지효과가 난다."
_파급효과는.
"연구용역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총 38조9,685억원의 생산증가를 통해 24조4,333억원의 부가가치와 14만4,183명의 고용이 창출된다. 세부적으로 기반조성사업에서는 생산 24조6,138억원, 부가가치 15조4,329억원, 고용 9만1,071명, 기술개발을 통해서는 생산 14조3,547억원, 부가가치 9조4,000억원, 고용 5만3,112명이 창출된다."
_원자력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전문가포럼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원전과 방폐장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서는 연구와 교육, 안전문화 시설이 같이 있어야 한다. 미래 에너지 안보와 원자력산업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포럼은 원자력클러스터 조성 공론화 및 경북 입지 당위성을 알리고 있다."
_환경운동연합은 '경북을 세계 최대 핵단지화하는 원자력클러스터 추진을 철회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경북도가 주민안전을 볼모로 도박을 하고 있다는 얘기다.
"원자력클러스터는 원전을 건설하자는 것이 아니다. 기존 원전과 방폐장 등 속칭 혐오시설은 있지만 연구와 교육 시설 등은 서울과 대전 등에 있어 갈등이 있는 것이다. 지금은 산업시설과 연구개발시설, 문화시설이 원전 옆에 조성돼야 한다. 연관산업으로 인해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지역경제가 활성화하는 것이다. 고급 두뇌가 같이 연구하고 거주하는 단지가 형성되면 안전성 문제도 더 좋아질 것이다."
_유치 시설 중 제2원자력연구원이 포함돼있다. 환경단체들은 '사용후 핵연료'(고준위방사성폐기물)와 핵재처리시설이 들어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국내 원자력은 대부분 경수로다. 이곳에서 쓰고 난 사용후 핵연료를 재활용, 우라늄 활용도를 100배 이상 높이고 고준위폐기물 처리장 크기를 10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면 정부 차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만 안전성 문제는 주민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기 때문에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선행되야 한다."
_일본 원전사고 후 '탈 원전 정책'을 부르짖는 목소리가 높다.
"세계 10위권대 무역국인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97%에 이른다. 태양광이나 풍력, 지열, 조ㆍ수력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에너지 양도 극히 제한적이다. 대체에너지 개발도 추진하면서 과학벨트 DUP캠퍼스연구단의 연구 등을 통한 안정적인 원자력발전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준호기자 jhj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