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와 20억배럴의 유전개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우리나라의 연간 석유수입 규모의 3배에 달하는 양이다.”
2009년 2월 24일 서울에서 열린 한ㆍ이라크 정상회담 뒤 정부는 해외자원 외교의 성과라며 열을 올렸다. “이라크 정부가 먼저 국내 기업의 사회간접자본(SOC) 건설 참여와 유전 개발권 연계를 요청했다”면서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가뭄의 단비”라고도 했다. 그러나 폭로전문 사이트 위키리크스가 29일 공개한 주한 미 대사관의 2009년 2월 26일자 외교전문에 따르면 이는 ‘뻥튀기’홍보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정부는 이명박 대통령과 잘릴 탈라바니 이라크 대통령이 발전소 건설 등 SOC사업 참여와 이라크 남부 바스라 인근 유전 개발을 연계하는 내용의 경제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총 사업규모가 35억5,000만 달러(4조2,35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그러나 이틀 뒤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미 대사관 관계자를 만나 “1시간 동안 진행된 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구체적인 합의 사항을 도출해 시간이 없었다”며 “구체적으로 합의되지 않은 설 익은것”이라고 털어놓았다.
그는 이어 “자세한 것은 5월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열리는 장관급 회담에서 마무리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으나 이마저도 우리 정부의 ‘희망사항’에 그쳤다. 당시 국내 기업들은 쿠르드 지역 유전 개발에 참여하고 있던 터라 이라크 정부와 사이가 껄끄러웠다. 이라크 정부도 석유개발권을 둘러싸고 쿠르드 자치정부와 갈등을 빚고 있었다. 이라크는 정상회담 한달 여 뒤에도 쿠르드 유전개발에 참여한 한국석유공사와 SK에너지 등 국내 기업을 유전개발 입찰에서 배제한다고 재차 선언했고, 정부의 계획은 끝내 실현되지 않았다.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 미 대사는 전문에서 “한국 정부가 (이라크 정상의) 방한을 긍정적으로 포장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2년 뒤인 올해 4월 이라크와 ‘경제ㆍ에너지 협력 촉진을 위한 협정’을 체결했지만, 이는 국내 기업에 유전개발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것으로 2009년 발표와는 다른 것이었다.
이성기기자 hangi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