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서울시장 후보를 놓고 보이고 있는 행태는 한심하기 이를 데 없다. '안철수 현상'에 큰 충격을 받은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집권여당과 제1야당이 스스로 존재 이유를 부인하는 행보를 서슴지 않고 있는 것은 참으로 걱정스러운 일이다.
한나라당은 범야권 후보로 박원순 변호사가 부상하자 허겁지겁 범여권 시민운동가인 이석연 변호사를 영입하기 위해 나섰다. 홍준표 대표가 인재영입위원장을 보내 삼고초려의 노력까지 기울였다. 그런 한나라당이 여론조사 결과 이 변호사보다 나경원 최고위원이 더 경쟁력 있는 것으로 나타나자, 언제 그랬냐는 식으로 "장외 통합 경선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집권여당의 안정감이나 원칙은 고사하고 세(勢)와 이(利)에 따라 이리저리 쏠리는 삼류 정치를 보는 기분이다.
민주당은 더 형편없는 처지가 됐다. 25일 서울시장 후보 경선을 치르지만, 거기서 선출된 후보가 끝까지 선거전을 펼칠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민주당 후보는 내달 4일로 예상되는 범야권 단일후보 경선의 불쏘시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게 세간의 인식이다. 아무리 서울시장 자리가 중요하고 야권 통합 후보를 염두에 두고 있다 해도 출마하겠다는 최고위원을 당 대표가 말리는 일까지 있었으니 누가 민주당을 차기 집권세력이라고 선뜻 인정할 수 있겠는가.
정치불신이 크고, 당 밖의 인물이 인기를 얻는다고 해서 그때마다 정당 밖에서 해답을 찾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뼈를 깎는 자성, 시대정신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선행돼야지, 검증이 끝나지 않은 '바람'에 휩쓸려가는 것은 정당 자신에도, 대의정치와 민주주의에도 도움되지 않는다. 일단 자기 후보를 내고 실현하고자 하는 정책방향을 국민에 알려야 한다. 그 이후 꼭 필요할 경우 시민사회세력과의 연대와 통합후보 선출이 이루어져야지, 미리부터 자신들의 역할을 보조자로 격하시키는 것은 안 된다.
항간에는 지향점이 정리되지 않은 체제개혁론까지 대두되고 있지만, 한국 정치사 어느 시점에서도 정당은 나름대로 역할을 해왔다. 여든 야든 정당정치의 중요성과 책임을 망각하지 말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