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해안의 10%가 적의 야간 해안 침투에 취약한 감시 사각지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천안함 사태가 발생한 지 1년 6개월이 지났는데도 해안 감시망에 여전히 구멍이 뚫려있는 셈이다.
국회 국방위 소속 민주당 신학용 의원이 18일 국방부로부터 제출 받은 '해안 감시 실태 및 보완 대책'에 따르면 국방부는 현재 해안 감시 장비로 해안레이더 60여대와 열상감지장비(TOD) 146대를 운용하고 있다. 해안레이더는 해상의 움직이는 물체를 포착하고 추적하지만 실질적으로 야간에 침투하는 물체의 형태를 식별하는 것은 TOD다. 지난 1998년 12월 전남 여수 앞바다로 침투하다가 격침된 북한 반잠수정도 TOD를 통해 포착됐다.
TOD의 감시 범위는 전방 8㎞, 직경 16㎞다. 현재 우리나라 해안에 배치된 TOD로 감시할 수 있는 해안선은 2,336㎞로, 전체 해안선(5,668㎞)의 41.2% 수준이다. 이에 국방부는 "서해와 남해가 들쭉날쭉한 리아스식 해안이라서 중첩되는 감시 범위를 감안할 경우 TOD로 감시할 수 있는 범위는 전체 해안선의 90%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결국 나머지 10%(약 500㎞)에 해당하는 지역은 적의 야간 해안 침투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들 지역은 경기, 강원 등 전방 지역은 아니지만 충남 태안, 전북 부안, 전남 진도, 경북 울진, 경남 사천, 부산 등 전국적으로 총 90여 곳에 달한다.
국방부는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올해부터 2012년까지 해양경찰청 해양경비안전망과 연동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에 필요한 예산 9억2,000만원도 확보하지 못해 연동 작업을 당장 추진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회경기자 herm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