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마음 카운셀러] 며느리가 애들 안 돌보고 게임만…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마음 카운셀러] 며느리가 애들 안 돌보고 게임만…

입력
2011.08.11 11:58
0 0

(한국일보 건강면은 '마음카운셀러'란 이름의 상담실을 운영합니다. 일상 속 고민이나 힘든 마음 이야기를 precare@hk.co.kr로 보내주시면 전문가가 상담해드립니다.)

도무지 이해를 못 하겠네요. 며느리가 도통 아이들 돌볼 생각을 안 해요. 아들네 갈 때마다 컴퓨터 앞에 붙어 앉아 게임을 하고 있는 거에요. 전에 한 집에 같이 살 때도 그랬거든요. 분가한 뒤론 따로 아이 봐줄 사람도 없는데 게임을 손에서 놓질 않네요. 두 돌 갓 지난 손녀는 엄마가 놀아주지 않고 TV만 틀어줘 그런지 말도 안 늘고 불러도 대답도 잘 안 해요. 매번 빈 자장면 그릇이 있는 걸 보면 애들 밥이나 해 먹이는지 모르겠어요. 며느리는 자신이 얼마나 게임을 많이 하는지를 모르는 것 같아요. 20대 후반인데, 다 큰 어른이, 게다가 애기 엄마가 저렇게 게임에 빠져 있다니요. 50대 후반 주부(서울 관악구 신림동)

암 같은 병은 조직을 검사해 맞다 아니다를 확실히 가려낼 수 있지만 중독이나 우울, 불안 같은 정신적 문제는 사실 객관적인 판단이 쉽지 않아요. 여러 가지 관련 상황이나 증거들을 종합해봐야죠.

최근 들어 중독 여부를 판단할 때 중요한 근거로 여기기 시작한 항목이 바로 '주변 사람들이 걱정하거나 불만을 표현하는가'에요. 일반적으로 중독이 심할수록 자신은 중독이 아니라고 부인하는 정도가 강해지죠. 이럴 경우 가까운 주위 사람들이 보는 시선이 더 객관적일 수 있어요. 또다른 근거로 '결과가 나쁜데도 계속하는가'도 있어요. 손녀의 변화가 눈에 띈다는 사실이 나쁜 결과로 볼 수 있겠죠.

타인의 입장에서 설명한 내용이라 조심스럽긴 하지만, 여러 정황으로 봤을 때 며느리가 게임 중독일 가능성이 없지 않네요. 어린이보다 어른의 중독은 더 고치기 어려워요. 아무리 시어머니라도 제발 게임 좀 하지 말란 얘기를 반복하는 건 아무런 소용이 없을 거에요. 어른의 말이 중독을 막는 효과를 내는 건 보통 중학교 이전까지일 뿐이니까요.

며느리가 게임을 할 수밖에 없는 원인을 찾아야죠. 재미있어서,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서 같은 표면적인 이유 말고 좀더 근본적인 이유를 말이에요. 가족끼리 대화를 하든 함께 상담을 받든 중요한 건 '넌 문제가 있어'라며 중독에 대해서부터 이야길 시작하면 며느리를 돕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며느리가 자신의 상황이나 심정을 이야기하고 식구들이 그에 공감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게 제일 먼저에요.

신성만 한동대 상담심리학과 교수 (한국상담심리학회 중독 상담 전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