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최근의 폭우 사태를 계기로 도시 수해를 막는 안전망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고 밝힌 것은 당연한 일이다. '100년 만의 폭우'라며 하늘에 탓을 돌리기보다 기후환경 변화를 현실로 인정하고 기존의 도시방재 패러다임을 새롭게 전환하겠다는 쪽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금세 눈에 띄지는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많은 예산을 들여야 하는 만큼 애초의 의지가 흔들리지 말고 꾸준히 시행되도록 해야 한다.
우리는 폭우피해가 한창이던 지난 달 이미 기후변화에 따라 수방(水防)대책을 근본적으로 다시 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한국일보 7월 29일자 1면), 피해 최소화를 위해 예보ㆍ복구 시스템을 재점검할 것(7월 30일자 1면)을 촉구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올해를 서울 기상이변 수방계획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선언하면서 시간당 100㎜ 집중호우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수관거의 용량을 늘리고, 저지대 주택 등의 침수대책을 근본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밝힌 것은 그런 점에서 꼭 필요한 조치라고 할 만하다.
산사태가 우려되는 80여 곳에 대한 사전방비는 물론이지만 조직적 재난대응 시스템도 더욱 정비해야 한다. 오 시장은 서울시 전역을 대상으로 새롭게 '산 재해방지 마스트 플랜'을 세우겠다고 밝혔는데, 기존 방재시스템을 점검하고 보완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번에 피해가 커졌던 이유는 방재시스템이 없어서가 아니라 있는 것마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의 서울 도심 수해 때에도 유사한 다짐이 있었음을 모두가 기억하고 있다.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을 끈기 있게 추진하는 것 못지않게 당장의 수해복구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 일도 게을리할 수 없다. 수해 발생 당시 서울시는 '선(先)지원 후(後)정산'의 방침을 밝혀 피해 주민들을 다독거렸으나 뒷처리가 주민들의 기대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관할 구청과 서울시의 업무 소통이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이번 수해가 서울시만의 문제가 아닌 만큼 다른 지자체들도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