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연쇄 테러로 유럽 극우주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노르웨이는 부유하고 평화로운 유럽에서도 소득과 정치적 안정성이 최고 수준인 나라다. 원유 생산으로 인한 수익만 연 210억유로에 이르고 사회보장제도도 잘 갖춰져 있다. 국제 구호단체 세이브더칠드런에 의해 종종 '엄마가 살기 가장 좋은 나라'로 꼽혔고, 지난 40년 가운데 26년을 사민주의 정당인 노동당이 집권했다.
그러나 이번 테러로 이민자 특히 무슬림 이민자에 대한 혐오와 유럽통합에 대한 반감을 자극하는 극우주의 바람에서, 사회복지제도의 모델 노르웨이마저 자유롭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극우주의의 발호는 경제 악화가 이민 증가와 겹치면서 생겨난 현상이다. '이방인들이 복지예산을 잠식하고 우리 몫을 빼앗아간다'는 논리가 경제ㆍ사회적 불안을 틈타 인권 수호자를 자처하던 유럽인들을 자극하고 있다. 현재 노르웨이 인구의 11%가 이민자로 집계된다. 이미 2009년 총선에서 반이슬람, 반유럽통합을 내세운 진보당(FnP)이 22.9%의 표를 얻을 만큼 이들에 대한 반감이 만만치 않다.
앞서 2007년 덴마크인민당(DF)이 13.9%를 득표한 것을 시작으로 네덜란드, 스위스, 핀란드 등에서 극우정당이 두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했다. 프랑스, 이탈리아, 스웨덴 등에서도 극우정당이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데이비드 카메론 영국 총리 등은 최근 "다문화정책은 완전히 실패했다"고 시인했다.
뉴욕타임스는 23일 "이민에 대한 오래된 반감과 유럽 통합으로 집시 등 소수자가 자유롭게 돌아다니게 된 현실이 민족주의, 또는 쇼비니즘의 토대가 됐다"고 보도했다.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도 24일 "이번 사건으로 '북유럽 극우파가 안보 위협은 아니다'는 생각을 완전히 뜯어고치게 됐다"고 전했다.
하조 풍케 베를린자유대 교수는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이번 테러는 정신병자의 단독 행동일 수 있다"면서도 "우파 세력이 폭력의 길로 들어설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상호기자 shy@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