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발생한 구제역으로 매몰된 가축은 전국에 걸쳐 약 350만 마리에 이른다. 올해 3월에 발병은 그쳤지만 피해는 그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매몰 당시부터 예견했던 침출수 문제와 농민들에 대한 보상금 지급 등 남은 문제가 산적해있다. 20일 밤 11시 15분 KBS2 '추적 60분'에서는 구제역 이후 현장 관리와 대응이 제대로 되고 있는 지를 점검한다.
충북 충주시 앙성면의 한 마을에서는 구제역으로 270마리의 소와 돼지를 살처분했다. 4월부터 인근 개울에서 악취가 나고 비계 덩어리가 발견되고 있다. 검사 결과, 지하수는 먹는 물 기준치보다 100배 이상 오염된 것으로 밝혀졌다. 시에서는 침출수 오염이 아니라고 부인하고 있지만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주민의 걱정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생수공장 주변에 가축 14만여 마리를 묻은 곳도 있다. 침출수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정부에서는 매몰지 이전 외에 별다른 대책이 없는 상태다.
젖소 80마리를 키우던 경기 이천의 한 축산농 부부는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예방 차원에서 모든 소를 매몰했다. 하지만 보상금 지급은 계속 늦어지고 있다. 당초 정부가, 시가 보상을 약속했지만 보상 기준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태에서 4월에는 전남 무안에서 구제역 의심 증상이 확인됐다. 간이 항체키트 검사 결과는 음성이었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는 것은 정부가 지난해 구제역 발생 당시 항원키트 대신 항체키트 사용으로 구제역 발발을 제대로 감지해내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지금도 여전히 현장에서는 항체키트를 사용 중이다. 일각에서는 구제역 재발 우려까지 제기하고 있다. 구제역이 다시 발생하면 과연 막을 수 있는 것인지 점검해본다.
김현우기자 777hyunwo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