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책과세상/ '우리는 왜 빠져드는가' 무명 악사의 명연주에도 우리는 음악적 쾌락을 느낄까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책과세상/ '우리는 왜 빠져드는가' 무명 악사의 명연주에도 우리는 음악적 쾌락을 느낄까

입력
2011.06.03 09:15
0 0

우리는 왜 빠져드는가/폴 블룸 지음·문희경 옮김/살림 발행·360쪽·1만6,000원

사람들은 왜 음악을 듣고 즐거워할까. 음악은 사람만이 즐기는 쾌락이다. 아기조차 불협화음보다 협화음을 좋아하고 특히 자장가를 좋아한다. 일찍이 다윈이 인간의 가장 설명하기 어려운 특징 가운데 하나로 노래나 음악에 대한 사랑을 언급한 적이 있지만 지금도 이를 명확히 설명하는 이론은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이 무언가를 좋아하는데 그 이유를 알기 어려운 것들이 많다.

미국 예일대 심리학과 폴 블룸 교수가 쓴 <우리는 왜 빠져드는가?> 는 사람들이 음식 섹스 예술 쇼핑 영화 스포츠 같은 것에 매혹되는 이유를 파헤치고 있다. 저자는 이것들이 인간에게 쾌락(또는 즐거움)을 주는 이유는 무엇이며, 어떻게 해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지를 심리학에서 연구된 다양한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사람들은 쾌락이 어떤 대상의 속성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십상이다. 가령 남자는 숨 막히게 매력적인 아가씨를 만나면 할 말을 잊는다. 와인을 마시는 것은 향과 맛이 좋아서고, 음악을 듣는 것은 소리 때문이고, 영화를 즐기는 것은 스크린에 나타나는 영상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저자는 그 이상의 것이 있다고 말한다.

2007년 1월 워싱턴의 한 지하철역에서 청바지와 티셔츠 차림에 야구 모자를 눌러쓴 한 젊은이가 바이올린으로 클래식 음악 여섯 곡을 연주했다. 그 청년은 조슈아 벨이라는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였고, 그가 연주한 바이올린은 350만달러짜리 명품이었다. 수천 명의 인파가 지나갔지만 그의 바이올린 케이스에 모인 돈은 고작 32달러였다. 사람들은 벨의 음악을 듣고도 별다른 감흥을 느끼지 못했던 것이다.

워싱턴포스트가 대중의 취향을 솔직히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이 실험은 사람들이 훌륭한 음악가의 콘서트에 가는 이유가 단지 음악이 좋아서 만은 아니며, 공연을 감상할 때의 맥락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이 추구하는 쾌락은 복잡하고, 때로는 불합리해 보이기도 하다. 저자는 쾌락이 심오하다고 표현하기까지 한다.

와인 연구도 이런 사례의 하나다. 똑같은 보르도와인이지만 한쪽에는 최고급 와인을 의미하는 '그랑 크뤼'등급을 붙이고, 다른 쪽에는 일반 와인을 의미하는 '뱅 드 따블'을 붙여 와인 전문가들에게 시음을 시켰다. 40명이 최고 등급이 붙은 쪽을 좋은 와인이라고 평가했고 12명은 낮은 등급이 붙은 와인을 좋은 와인이라고 평가했다. 한걸음 더 나아가 전문가들조차 레드와인과 화이트와인의 맛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코카콜라와 펩시콜라를 구별하는 블라인드 테스트에서는 맛을 결정하는 것은 콜라의 맛이 아니라 브랜드라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히틀러의 후계자로 지목됐던 헤르만 괴링은 걸작으로 알고 소유했던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그리스도와 간음한 여인'이라는 그림이 위작이라는 소식을 듣고 세상에 악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 깨달은 사람 같이 망연자실해 했다.

이처럼 사람은 그림을 감상할 때는 어떤 화가가 그렸는지가 중요하고, 이야기를 읽을 때는 진실인지 허구인지가 중요하며, 스테이크를 먹을 때는 어떤 동물의 고기인지, 성관계를 맺을 때는 상대가 누구인지에 따라 즐거움이 달라진다. 저자는 이렇게 음식, 섹스, 유명인이 소유했던 물건을 비롯한 특별한 물건,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쾌락을 느끼는 기제를 살펴본다.

사람은 이성의 어떤 점에 빠져들까. 미국 피츠버그대에서 한 연구가 있다. 여러 강의실에 여자들을 들여보내 수업을 참관하도록 했는데 여자들은 한마디도 하지 않고 학생들과 대화도 나누지 않았다. 다만 강의실에 들어가는 횟수를 15회, 10회, 5회, 0회로 차이들 뒀다. 한 학기가 끝난 후 학생들에게 여자들의 사진을 보여 주고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학생들은 15회 참관한 여자를 가장 매력적인 사람으로 꼽았다. 강의실에 한 번도 들어오지 않은 여자는 가장 매력 없는 사람이었다. 친숙한 대상에게 호감을 느끼는 단순노출효과다. 이웃집 아가씨가 유독 매력적으로 보이는 이유다.

저자는 어떤 대상이 주는 즐거움은 대상 자체보다는 사람들이 그 대상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감각적 쾌락이 아니라 본질주의적 쾌락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사람은 물론 세상의 모든 사물에는 보이지 않는 본질이 있고, 그 본질이 사물의 참모습이라고 보는 인지심리학의 관점이다.

책에는 쾌락을 보는 다양한 관점이 제시된다. 가령 진화론에서는 쾌락에는 유전자에 유리한 행동을 하게 만드는 기능이 있다고 이해한다. "쾌락과 고통은 유기체에게 이롭거나 해로운 작용이 쌓여서 진화해 왔고, 따라서 유기체는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멀리하도록 진화해 왔다"는 비교심리학자 조지 로메인스의 견해가 그 하나다. 저자는 인간이 미술 음악 이야기 종교에서 쾌락을 추구하는 것을 보면 이 같은 설명대로 쾌락이 작동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면서 자기 나름대로 논리를 전개한다.

쾌락의 기제를 살펴보면 합리적이라고 생각했던 인간 행동의 많은 부분이 겉모습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경욱기자 kwna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