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특파원 칼럼] 격변의 미국 외교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특파원 칼럼] 격변의 미국 외교

입력
2011.05.29 12:05
0 0

오바마 미 대통령의 '1967년 국경선' 발언을 놓고 논란이 많다. 진의가 무엇이냐는 것이다. 오바마는 19일 중동정책 연설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협상은 (3차 중동전 이전인) 67년 국경선을 근거로 해야 한다"고 해 파문을 불렀다. 이스라엘이 점령한 동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 가자지구를 팔레스타인에 돌려줘야 한다는 뜻으로 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논란 부른 '67년 국경선'발언

이스라엘이 평화를 얻기 위해 영토를 얼마나 넘겨줘야 하느냐가 협상의 본질인 만큼 그의 발언은 세계 언론의 뜨거운 조명을 받았다. 다음날 백악관 정상회담에서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오바마 대통령의 면전에서 그의 구상을 반박하고 얼굴을 돌리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진 것도 무리는 아니다.

논란이 커지자 오바마는 22일 미ㆍ이스라엘 공공정책위원회(AIPAC)에서 "67년 국경선과 다른 국경을 설정하기 위한 협상을 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44년간 일어난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해명했다. 사실상 67년 국경으로 되돌아갈 수는 없다고 못을 박은 것이다. 이를 두고 이스라엘의 점령지를 용인해온 부시 행정부의 정책을 확인한 것에 불과하다는 비판론이 제기됐다. "유대계의 영향력과 자금 앞에서는 오바마도 별 수 없다"는 비아냥도 나왔다.

불과 사흘 만에'꼬리를 내린' 오바마의 '단견과 무모함'을 질책하는 것이 당연한 듯 보였지만, 미 주류 언론 보도는 그렇지 않았다. 워싱턴 포스트는 "오바마는 이스라엘 안보를 강조했다"고 했고, AP통신은 "대통령은 친 팔레스타인처럼 보이는 것을 경계했다"고 썼다. 유대계 자본의 뉴욕 타임스는 오바마 대통령의 '말바꾸기' 논란 대신 협상 재개에 대한 그의 의지에 초점을 맞췄다.

지금 미국의 외교, 특히 중동정책은 위기이다. 오사마 빈 라덴 사살 이후 냉랭해진 파키스탄은 물론이고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등 어디 하나 미국과의 관계가 껄끄럽지 않은 나라가 없다. 파키스탄과 아프간은 중국에 노골적으로 밀착하고 있고, 중동의 맏형인 오랜 동맹국 사우디도 러시아로 기울고 있다.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불고 있는 민주화 바람도 기존 정책의 대폭적인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나온 오바마 대통령의 '67년 국경론'발언은 말실수로 치부할 수 없는 함의가 있다. 미 역대 대통령 중 '67년 국경'을 공개 거론한 것은 처음이라는 점, 지금까지의 '전제조건 없는' 협상 입장에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 등은 그 자체로 주목할 하다. 특히 이스라엘 총리 앞에서 영토에 대한 전략적 결단을 촉구한 것은 혈맹 관계를 생각하면 과거엔 상상할 수도 없는 모습이다.

중동정책 변화 신호탄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 유대계로부터 80%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내년 대선에서도 유대계의 지지 없이는 플로리다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등 핵심지역에서 이길 수 없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럼에도 이스라엘이 '판도라의 상자'로 여기는 '67년 국경선'을 거론한 것은 과거의 패러다임으로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안위를 지킬 수 없다는 경고의 메시지이다. 혼란스런 중동 정세로 보아 미국의 중동정책, 대 테러전략은 큰 굴곡을 겪을 것이 분명하다. 오바마 대통령의 국경선 발언은 이런 고민의 흔적이자 미 외교의 변화를 알리는 신호탄이다.

황유석 워싱턴특파원 aquariu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