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영업정지된 8개 저축은행의 사외이사에는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삼화저축은행)외에도 전직 국회의원과 금융감독당국 출신이 상당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본보가 금융감독원 자료 및 저축은행 경영공시 등을 분석한 결과, 영업정지된 8개 저축은행의 현직 사외이사 총 23명에는 전직 국회의원이 3명, 은행감독원이나 증권감독원, 금감원 등 금융감독당국 출신이 4명이었다. 국회의원이었던 사외이사는 부산저축은행 김태규, 부산2저축은행 고귀남, 도민저축은행 이상수 사외이사다.
이중 이상수 이사는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민주당에서 13, 15, 16대 국회의원과 노동부장관 등을 역임했다. 2008년 낙선한 후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도민저축은행은 이 이사 외에도 서울지방경찰청장과 한국공항공사 사장 등을 역임한 윤웅섭 이사와 대전지검 천안지청장을 역임한 조가윤 이사 등 유력 인사를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감독당국 출신은 부산저축은행 강성범(은행감독원 및 금감원 근무), 중앙부산저축은행 고승욱(증권감독원 국장), 대전저축은행 윤경철(금감원 대전지원장), 삼화저축은행 백영수(금감원 근무) 사외이사다. 삼화저축은행의 정석복 사외이사는 한국은행과 예금보험공사 출신이다.
금융회사에서 사외이사의 의무는 경영진 견제. 하지만 실상은 '거수기'에 불과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저축은행들 역시 명망가 중심으로 사외이사진을 구축함으로써, '방패막이'역할을 기대했다는 것. 또 부산저축은행 계열의 금감원 출신 낙하산 감사들이 감사의 본연의 임무를 망각하고 오히려 불법대출 등 경영부실을 도왔듯, 일부는 경영진을 견제하기 보다는 자주 나가지 않아도 두둑한 봉급을 챙겨주는 부업을 준 경영진을 오히려 비호했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부산저축은행 계열 일부 저축은행은 70대 후반~80대인 고령의 사외이사를 두기도 해, 사외이사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었겠느냐는 의문마저 제기된다.
금융권의 한 인사는 "시중은행마저 사외이사가 '고임금 부업'으로 인식되고 거수기 역할을 해 문제가 되고 있는 마당에 저축은행 사정은 훨씬 더 심할 것"이라면서 "금융위원회가 금융회사의 상근감사를 없애고 사외이사로 구성된 감사위원회를 권장하려면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운영하는 방식부터 바꿔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진주기자 parisco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